미래 성장기반 `나노팹` 부실화 우려

 나노반도체 등 미래 성장동력 산업의 기반이 될 나노기술(NT) 연구를 위해 구축된 장비 집적시설인 나노팹의 부실화가 우려되고 있다.

 19일 과기부에 따르면 나노종합팹과 나노특화팹은 정부 지원 종료를 각각 4년과 1년 앞두고 있으나 재정자립도는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해 팹 활성화를 위한 자구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처럼 낮은 자립도는 나노관련 연구자들이 나노팹의 높은 서비스 수수료로 인해 시설 이용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의 한 관계자는 “이처럼 자립도가 떨어지는 것은 비싼 장비 이용료 때문”이라며 “미세패턴장비인 e빔리소그라피 장비는 타 시설에 비해 10배가량 비싸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동안 두 시설에 각각 1170억원과 500억원씩 총 1670억원을 투입해온 정부로서는 지원을 연장하거나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정부 지원이 종료되는 나노종합팹은 지난해 과기부가 비공개로 경영진단을 한 결과, 자립도는 70% 정도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현재 서비스 수수료 수입은 54억원, 임대수입은 1억원에 그치고 있다.

 올해 정부지원이 종료, 당장 내년 자생해야 하는 나노특화팹은 자립도가 80% 정도에 머물렀다. 그나마 서비스 수수료 수입은 28억원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임대료 수입(40억원)과 민간 출연금으로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운영에 핵심이 돼야 할 서비스 수수료 수입보다 부대수입인 임대료 수입이 더 많은 셈이다.

 과기계에서는 두 시설 모두 시설운영비·경상경비·인건비 등을 포함, 각각 연간 120억원을 소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 나노로드맵을 만들기 위해 민관으로 구성된 국가나노로드맵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정부 지원을 끊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며 융합기술에 대비해 기존 기반시설의 보완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기반시설 간 연계시스템을 구축하고 방사광가속기 등 대형 국가시설과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기부는 이 같은 주장을 놓고 “인력 구조조정 등 경영혁신을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종합팹은 정부 지원 종료 시 100% 자생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특화팹도 올해 강도 높은 경영혁신을 추진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