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로봇업계의 5대 이슈는

 로봇업계는 지난해 설비투자 감소와 지능형 로봇의 킬러앱 부재로 적잖은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의 지원책에도 불구하고 별 성과가 없자 주요 로봇 상장사들의 주가는 지난 1년새 절반이나 빠졌다. 전문가들은 새해 로봇산업이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올라서려면 차기정부의 조직개편과 로봇특별법과 같은 큰 물줄기부터 제대로 잡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차기 정부의 로봇정책, 어디로 가나=산자부와 정통부는 로봇정책의 주도권을 놓고 서로 경쟁해왔다. 이제 관심은 이명박정부가 로봇정책을 한 부처로 통합할지 혹은 기존 복수체제의 장점을 인정할지에 쏠렸다. 정통부는 네트워크 로봇 사업을 다른 부처에 통합하면 연속성은 기대하기 힘들다며 인수위를 설득하는 데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산자부는 부처통합에 따라 로봇 주도권을 굳힐 가능성도 은근히 기대했다.

로봇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업입장에서 두 부처의 경쟁구도가 오히려 바람직한 결과를 낳기도 했다”라면서 새 정부의 신중한 판단을 당부했다.

◇특별법, 새해에는 통과될까=지난해 로봇업계의 가장 큰 이슈였던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이하 로봇특별법) 문제가 정초부터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산자부는 지난해 부처간 갈등으로 무산된 로봇특별법안을 오는 2월 임시국회에 반드시 통과시킨다는 계획이다. 로봇특별법에는 로봇펀드 발행과 로봇랜드의 조성, 로봇산업진흥원 설립 등 산자부가 추진해온 각종 로봇정책의 핵심 사안이 집약됐다. 법안 내용에 대한 부처간 협의가 끝나지 않은데다 정부 조직 개편과도 맞물려 법 통과 가능성은 오리무중이다.

◇로봇랜드 예비사업자, 막판 변수 가능성=산자부는 지난 11월 전국 10개 지자체 중에서 인천과 마산 두 곳을 로봇랜드 예비사업자로 선정했다. 지방균형발전이란 명분을 걸었지만 두 곳으로 관람객이 분산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기획예산처가 연초 로봇랜드사업의 예비타당성을 조사하면서 인천, 마산 중 한 곳을 탈락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로봇랜드 유치가 최종 단계에서 실패할 경우 해당 지자체는 커다란 정치적 후유증에 시달릴 전망이다.

◇설비투자 회복될까=로봇업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설비투자가 새해들어 회복될 조짐이 완연하다. 반도체, LCD산업의 투자 확대로 자동화수요가 늘어났다. 자동차 업계의 투자가 변수이나 최근 이명박 당선자의 재계 간담회에 맞춰 현대·기아 자동차가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하면서 얼마간 희망적으로 돌아섰다.

산업용 로봇시장도 수년간의 불황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업계는 기대했다.

◇로봇업체의 추가 상장여부=지능형 로봇 테마주로 지난해 코스닥에 등장한 기업들의 경영실적이 신통치 않았다. 올해엔 어떤 로봇업체들이 상장될 지 관심거리다. 국내 2위의 산업용 로봇업체 로보스타는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다며 올해 상장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반도체 로봇업체로 두각을 나타낸 싸이멕스는 설립된지 2년차에 불과해서 2009년 이후에 상장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대전의 한울로보틱스도 별다른 매출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로봇테마를 주도할 스타기업이 새로 등장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매우 낮다.

배일한기자@전자신문, bailh@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