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이 분실한 ‘우라늄’의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원자력연은 10일 대덕특구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번에 분실한 우라늄이 환경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방사능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원자력연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특별사찰 대상 기관이라는 점에서 대외 신인도 추락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번에 분실한 10% 농축우라늄 0.2g과 감손우라늄 0.8㎏, 천연우라늄 1.9㎏ 등 핵물질 2.72㎏은 기술적으로 IAEA의 특별 사찰 대상 물질이라는 점에서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 발생했다는 것을 원자력연 관계자들은 시인하고 있다.
한필수 원자력연 원자력기반응용연구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구원 분실 물질은 2004년 IAEA로부터 특별사찰을 받았던 대상 물질”이라며 “IAEA로부터 6회에 걸쳐 특별사찰을 받았고 연구내용(원자력연의 2000년 레이저를 이용한 우라늄 농축 실험)은 올해 말이면 결과 보고서가 나와 마무리될 사안이었다”고 말했다.
한 본부장은 이어 “핵물질이라고는 하지만 환경평가 테스트결과 및 내부확인 결과 환경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다만 이번 사고로 인해 우리나라 원자력 프로그램의 신인도가 떨어질 것이 가장 큰 걱정”이라고 언급했다.
원자력연은 현재 해당 연구원으로 대책반을 구성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사고를 둘러싸고 풀어야 할 숙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분실 당일이 지난 5월 17일로 돼 있지만, 그 이전에 없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지난해 8월 이후 이 우라늄의 존재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한 적이 단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또 원자력연이 밝히고 있는 5월 18일 소각 여부를 확인할 길도 없다. 방사능 탐지기인 디텍터로 안산의 소각장을 조사했지만 우라늄을 찾는 데는 실패했다.
핵물질의 부실한 관리체제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비록 폐기물 처리업자가 다른 물건과 함께 폐기시켰다고는 하지만 거의 방치 수준이 아닌 이상 그런 일이 발생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편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이번 사고로 인한 안산 소각장의 방사선 영향이 일반인 선량 한도인 1밀리시버트(연간)의 1백억분의 1∼3000만분의 1로 추정했다. 또 매립장 주변 방사선 영향도 일반인 선량 한도의 5만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많이 본 뉴스
-
1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청사 나서는 한덕수 총리
-
2
尹 "계엄 선포 6시간만에 해제하겠다”
-
3
'尹 계엄 해제'에… 與 “국방부 장관 해임” 野 “즉시 하야”
-
4
尹, 6시간만에 계엄 해제…'탄핵·책임론' 뇌관으로
-
5
[계엄 후폭풍]대통령실 수석이상 일괄 사의
-
6
“딸과 서로 뺌 때려”...트럼프 교육부 장관 후보 '막장 교육'?
-
7
한총리 “국무위원 전원 사의 표명에 마지막 순간까지 국민 섬길것…내각 소임 다해달라”
-
8
[계엄 후폭풍]대통령실·내각 사의 표명…'정책 콘트롤타워' 부재
-
9
속보정부, 국무총리 주재로 내각 총사퇴 논의
-
10
국회 도착한 박지원 의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