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박테리아 5개중 하나꼴로 국내과학자들이 발견

  지난해 발표된 새로운 박테리아 5개 가운데 하나는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는 지난해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영국 국제미생물계통분류학회지(IJSEM)에 등록된 박테리아 신종 547건중에서 한국과학자들의 발표건수가 107종(논문 99편)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했다고 21일 밝혔다. 2005년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발견한 미생물은 ‘동해’, ‘갯벌’등 우리 고유명사로 이름붙여졌고 특히 2005년 독도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독도’로 이름지어졌다.

미생물은 고부가가치 의약용 단백질이나 생리활성 물질, 효소 등을 생산하는 균주로 활용되고, 전통적 발효산업에 사용되는 등 산업적 가치가 매우 높지만 아직까지 미생물의 99%가 발견되지 않은 채 자연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박테리아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미생물로, 수백만 종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발견된 것은 8000여종에 불과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 이전까지는 박테리아 신종 발표 건수에서 세계 10위권 밖이었으나 2003년 세계 4위에 이어 2004년 세계 2위로 올라섰으며 2005년에는 68종(전체의 13.8%)을 발표, 근소한 차이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했다. 지난해에는 일본(61종, 논문 43편)과는 약 2배의 격차를 벌렸으며 미국(56종, 논문 37편), 독일(55종, 논문 37편), 중국(45종, 논문 33편) 등을 크게 앞섰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