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5년새 진행된 부동산 급등이 유통점 임대료 인상으로 이어지며 하이마트, 리빙프라자, 하이프라자 등 전자유통점에 경영 최대 타격 요인으로 부상했다. 특히 올해는 예년보다 재계약 물량이 대거 몰려있어, 임대료 인상으로 인한 전자유통점의 주요 상권 탈락 현상까지 우려되는 형국이다.
리빙프라자의 김정인 경영지원팀장(상무)는 11일 “부동산 가격이 이렇게 올라있어서 무슨 장사를 하든지 점포를 구하기도 힘들고 기존 점포도 임대료 인상 요구가 엄청나다”고 털어놨다.
◇현황=국내 전자제품 전문유통점을 이끄는 하이마트는 전국에 240여 지점을 갖추고 있다. 이중 하이마트가 건물과 토지를 보유한 자가 지점은 20%선에 불과하다. 삼성전자의 유통자회사인 리빙프라자는 250개 지점 중 40여개가 자가지만 이것도 직접 소유는 아니고 모회사인 삼성전자의 자산이다. LG전자의 유통자회사인 하이프라자는 190개 지점 중 직접 보유 점포는 10~20점 미만이다. 결국 3사 모두 80% 정도가 임대 매장이며 대개 3∼7년 단위로 임대 계약을 맺는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매년 매장을 바꾸거나 재계약하는 규모는 하이마트가 30개점, 리빙프라자가 70개점, 하이프라자가 20∼30개점 정도다.
문제는 임대점포 소유주의 임대료 인상 요구폭이 무려 20∼40%까지 이르는데 있다.
하이마트의 박재욱 마케팅 팀장은 “높은 수준으로 인상 요구가 있으며 협상을 통해 대개 10%대에서 인상된다”고 말했다. 리빙프라자의 김 상무도 “하이마트와 유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2005년부터 내년까지는 재계약해야하는 임대 점포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다.
하이마트의 박 팀장은 “전자유통점의 출점이 2002년∼2003년에 많이 이뤄진만큼 5년 계약시점에 재계약 물량도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빙프라자는 지난해 100여점에 이어 올해도 70여점이 대상이며 하이프라자는 46점이 대상이다. 하이마트도 예년보다 많은 수준이다.
◇뾰족한 대책없어=임대료가 전체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용은 전체 매출의 3∼6%정도로 추정된다. 하이마트는 매장당 매출규모가 상대적으로 높아 3∼4%정도다. 반면 삼성전자 제품만을 취급하는 리빙프라자는 4∼5%로 부담이 높다. 가전 판매시 들어가는 비용이 20%가 넘으면 사실상 매출이 늘어날수록 적자가 나는 구조가 된다는게 업계 정설이다. 임대료의 폭등은 이같은 20% 마지노선을 위협할 수 있다.
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턱없이 임대료 인상을 요구하는 경우엔 어쩔 수 없이 매장을 옮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전자전문점 매장이 점차 시내 중심지에서 외곽으로 이동하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리빙프라자의 김 상무는 “결국 판매 능력을 더 키워 매출을 높여서 이같은 부담을 타개하는게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
전자 많이 본 뉴스
-
1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청사 나서는 한덕수 총리
-
2
尹 "계엄 선포 6시간만에 해제하겠다”
-
3
'尹 계엄 해제'에… 與 “국방부 장관 해임” 野 “즉시 하야”
-
4
尹, 6시간만에 계엄 해제…'탄핵·책임론' 뇌관으로
-
5
[계엄 후폭풍]대통령실 수석이상 일괄 사의
-
6
“딸과 서로 뺌 때려”...트럼프 교육부 장관 후보 '막장 교육'?
-
7
한총리 “국무위원 전원 사의 표명에 마지막 순간까지 국민 섬길것…내각 소임 다해달라”
-
8
[계엄 후폭풍]대통령실·내각 사의 표명…'정책 콘트롤타워' 부재
-
9
속보정부, 국무총리 주재로 내각 총사퇴 논의
-
10
국회 도착한 박지원 의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