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중국 등 주력 수출시장의 환경 규제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대·중소기업 환경 분야 협력사업이 대폭 확대된다. 모기업과 협력업체가 무역 장벽화되고 있는 환경 규제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한편, 경영 활동 전반에 걸쳐 대·중소기업의 동반 성장 기회도 모색한다는 취지다.
산업자원부는 23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지난 3년간의 ‘대·중소 그린 파트너십 성과 보고대회’를 개최하고 대·중소 그린 파트너십 사업을 2010년까지 모기업 30개, 1차 협력업체 400개, 2차 및 3차 협력업체 1000개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환경 규제 대응+상생 협력=정부는 환경 분야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확산을 통해 전기전자 유해물질제한지침(RoHS)·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등 국제 환경 규제에 대응하면서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협력체계도 강화하는 등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목표다.
김종갑 산자부 차관은 “주요 대기업과 협력업체의 환경 분야 상생 협력이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 전략으로까지 자리매김하는 것을 지향한다”며 “그동안 모기업과 1차 협력업체에 머물렀던 공동 대응이 2·3차 협력업체로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대·중소 그린 파트너십 확대를 위해 협력업체의 청정 생산설비 도입에 정책자금 융자를 우선 지원키로 했다. 금융권의 투자 유도를 위해 관련 협력업체의 기업설명회(IR)를 내년 2월 개최할 계획이다.
◇그린 파트너십 사업 성과 ‘성공적’=산자부는 지난 2003년부터 삼성전자·LG전자 등 8개 모기업과 122개 1차 협력업체가 참여한 그린 파트너십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삼성·LG의 30개 부품 협력업체가 모두 △국제환경인증(ISO14001)을 취득했고 △유해물질 분석에서 6억원 △청정생산체계 구축에서 15억원 △기업지원 소프트웨어(SW) 보급에서 5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집계했다.
김성덕 국가청정지원센터 전문위원은 “모기업은 친환경 부품·소재를 공급받아 환경 규제에 적합한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협력업체는 환경 경영체제 노하우를 전수받으면서 장기적·안정적 거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2010년까지 1500개 기업 참여 유도=산자부는 이날 경제정책조정회의를 거친 ‘대·중소 그린 파트너십 확산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환경 분야 상생 협력을 2010년까지 모기업 30개, 1차 협력업체 400개, 2·3차 협력업체 1000개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모기업→1차→2·3차 협력업체’로 연결되는 수직적 협력체계를 다져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국제 환경 규제 대응이 시급한 전기전자·자동차 분야 2·3차 협력업체 160개사를 대상으로 11월부터 별도의 시범사업도 진행한다.
정세균 산자부 장관은 이날 6개 대기업 삼성전자·LG전자·현대차·SK·포스코·유한킴벌리 대표와 ‘환경분야 대·중소 상생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LG전자는 2000개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지원 확대, 100개 1차 협력업체에 대한 진단 및 기술 이전을 실시키로 했다. 포스코는 우선 협력업체 26곳을 선정, 온실가스 관리기반 구축을 적극 지원키로 한 방침을 공개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대·중소기업 그린파트너십 단계별 확산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