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잃은 사람 많아도 찾은 사람은 드물다"

분실한 휴대폰 정상적인 루트로 찾을 확률 2.5%

Photo Image
분실폰을 찾는 비율은 전체 분실 건수의 5%에 불과하다. 실제 주인에 돌아갈 확률은 2.5%뿐이어서 정부·이동통신사·제조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휴대폰을 분실했을 때 친구나 지인들의 휴대폰을 통해 분실폰의 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KTF ‘분실폰 위치확인 서비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연도별 분실 휴대폰 수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는 사람은 많아도 찾았다는 사람은 보기 힘들다. 왜 그럴까. 지난해 휴대전화 분실 및 회수에 대한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KAIT) 핸드폰찾기콜센터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분실휴대폰(분실폰) 규모는 500만대로 추정되지만 회수는 그 5%에 불과한 11만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주인을 찾는 경우는 절반에 머물러 실제 분실한 휴대폰을 ‘정상적인 루트로 찾을’ 확률은 2.5%에 불과하다.

 연평균 6만∼7만대 수준이던 수거율은 비약적으로 늘어 지난해 처음으로 10만대를 넘어섰지만 분실 규모도 그만큼 늘어났다.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분실 신고된 휴대폰은 지난 2003년 358만2526대, 2004년 457만7011대를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5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회수 왜 안 되나?=습득한 휴대폰을 돌려줄 수 있는 방법은 많다. 우체통에 넣거나 경찰서·지하철·공항 등에서도 창구에 맡기면 찾아줄 수 있다. 시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이동통신 3사의 각 대리점에서도 수거한다. 그러나 여전히 회수율은 낮다. 핸드폰찾기콜센터에서는 회수율이 낮은 이유로 인지도 부족을 꼽았다.

 핸드폰찾기콜센터의 이종목 과장은 “과거엔 TV광고나 라디오, 신문 캠페인을 통해 알렸지만 광고가 끊기면 시들해진다”라며 “휴대폰 분실, 회수에 대한 절대적인 인식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분실됐지만 주인을 찾지 못한 휴대폰은 이른바 ‘장롱폰’이 되거나 별도의 유통경로를 통해 암거래되고 있는 것이다. 또 CDMA 통화방식 국가에 밀수출돼 문제는 예상보다 심각하다.

 일부 분실폰은 불법복제에 악용되는 사례도 발견됐으며 장롱폰은 각종 중금속에 노출돼 디지털 쓰레기 양산의 위험도 상존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분실폰을 신고하면 이통사별로 5000∼2만원 상당을 보상해주지만 유인책으로는 아무래도 부족한 편”이라며 “별도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책 없나?=전문가들은 연 500만대 수준의 분실폰이 돌아다니지만 획기적으로 회수율을 올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이동통신사와 관련협회 등은 ‘인식전환’ ‘캠페인’ 외에는 뾰족한 방법을 못 찾고 있지만 정부와 이통사, 휴대폰 제조사가 공동으로 책임의식을 갖고 적극적인 수거 노력에 나서야 한다는 것.

 미국에서는 일부 주에서 폐휴대폰 수거를 강제하는 법을 만들어 편리한 반환 시스템을 개발하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폐기처분하며 공공기관에서는 휴대폰 대량 구입시 이런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 제품만 구입하게 한 바 있다. 국제연합환경계획(UNEP)과 유럽연합(EU) 등에서도 휴대폰을 포함한 폐전자제품에 대한 의무 수거 규정을 둬, 제조사와 통신사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위원은 “한국에도 휴대폰 생산자책임재활용제(ERP) 확대 실시를 촉구하기도 했으나 반응이 저조한 편”이라며 “휴대폰 수거를 강제하는 법을 만들어서라도 휴대폰 분실에 대한 위험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재권기자@전자신문, gj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