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산업에 첨단 IT를 결합,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고 신규 성장 모델을 발굴하자는 취지의 ‘전력IT’ 국가프로젝트가 본격 시작된다. 전력IT는 9개 세부 과제에다 인력양성, 표준화 등을 동시에 진행시켜 향후 통합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력산업의 새로운 전기가 될 전력IT사업의 추진일정과 기대효과 등을 과제별로 조망한다.
74개 산·학·연이 참가하고 향후 5∼6년간 총 2518억원이 투입되는 전력IT 9개 사업이 시작됐다. 각 과제는 정부 예산에 민간 자금이 50%씩 투입돼 진행될 예정으로 업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국가 차원의 대형 프로젝트다. 국내 전력·중전기기산업은 연간 41조원(전력 23조원·중전기기 18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부가가치 창출 규모는 19조원 수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거대 산업 분야에서 약간의 효율성 향상만으로도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 전력 IT사업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IT 강국이고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이라는 점은 전력 IT사업에 큰 힘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산자부는 전력 IT사업을 통해 연간 6000억원 이상의 사회적 이익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자부 최민구 전력산업과장은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는 산업화에 두고 있으며 중간평가 등을 통해 기술 개발 과정을 점검하는 것을 소홀히 하지 않겠다”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업들에 최대한 기회가 많이 보장되도록 할 것이며 전력IT를 백본으로 삼아 다양한 세부 과제·산업 발전방향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전력IT는 세부 과제가 확정돼 있지만 향후 중간 단계에서의 과제 변경 등을 오픈하기로 했다. 또 기술개발 과제와 함께 전문 인력 양성, 국제 표준 선점 등도 동시에 진행하키로 한 것도 특징이다.
권영한 전력IT 전문위원은 “각 사업은 중간 단계에라도 필요한 부분은 상용화를 유도할 것”이라며 “각 프로젝트마다 4-5개의 세부 과제가 있는 만큼 사업 초기부터 각 프로젝트별 철저한 관리와 통합 성과 유도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각 과제의 사업 중복성 여부 극복 △중소형 중전기기 업계의 적극적 참여 유도 △총괄 과제 책임자의 사업 조율 능력 등을 사업 성패의 주요 포인트로 관측하고 있다.
홍준희 경원대 교수는 “전력에 IT를 덧붙이는 수준이 아니라 전력과 IT의 대등한 결합을 이뤄야만 진정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미니 인터뷰-권영한 전력IT 전문위원
-중점 관리 방향은.
▲ 과제의 연관성, 시너지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 IT를 비롯해 세상이 급변하는 만큼, 전력IT 과제도 고정화하기보다는 시대와 시장 변화를 반영해 적절히 변화를 꾀하도록 유도하겠다. 단순 기술개발보다 실제 상용화에 집중하는 것도 큰 방향이다.
-성과 극대화를 위한 방안은.
▲ 매년 중간평가를 실시할 것이며 사업성이 떨어지는 사업자와 과제는 중간 탈락도 가능하다. 모든 과제는 계획을 잡고 이에 따라 일정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완성된 최종 목표를 정해놓고 이에 맞춰 추진계획을 잡아야 한다. 역시간 테이블을 적용해 과제를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9대 전력IT 세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