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IT 조달시장 기대 이하…MAS는 `연착륙`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T품목 조달수요 현황과 전망

 올해 PC·복사기 등 IT 조달시장은 소폭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전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달시장 ‘태풍의 눈’이었던 새 조달시스템 ‘다수공급자물품계약(MAS) 제도’는 큰 시행착오 없이 ‘연착륙’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원년이지만 조달 문호를 개방하고 다양한 물품을 등록해 선택의 폭을 넓히는 등 기대 이상으로 빠르게 정착되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전 조달제도의 문제인 최저가격 관행을 개선하는 데는 미흡했고, 행자부 주도의 행정전산망(행망)을 통한 조달시스템과 조달청 주도의 MAS가 혼재해 시행착오를 겪는 등 수요자(정부) 위주의 정책이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MAS 시행 1년을 기점으로 올 한 해 IT 조달을 포함한 공공부문을 총 점검해 본다.

 ◇IT 조달시장 ‘기대 이하’=올해 조달을 포함한 공공시장은 기대와 달리 예년 수준이거나 오히려 소폭 하락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올 초 주요업체는 내수시장 침체로 기업·소비자 부문은 주춤하지만 공공시장만은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낙관, 최소한 10% 이상 커질 것으로 장담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 본 결과는 기대 이하.

 먼저 복사기 시장은 2004년 1만4010대·470억원 규모였으나 올해에는 1만3532대·460억원 규모로 소폭 줄어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올해 예상되는 전체 시장규모 9만대·1500억원의 20% 수준이다.

 PC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올 PC업계는 교육부에서 지난해 교육 선진화와 관련해 투자키로 한 예산이 올해로 이월되면서 5만∼7만대의 추가 PC 수요가 일어날 것으로 점쳤다. 이에 따라 53만5000대 규모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50만대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PC 조달시장은 48만5000대 규모였다.

 ◇MAS 원년 ‘절반의 성공’=올 IT 조달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MAS’였다.

 조달청은 올 1월 조달시스템을 확 뜯어고쳐 미국 등 선진국에서 시행중인 MAS를 전격 도입했다. ‘다수공급자물품계약제도’로 불리는 MAS는 한 마디로 경쟁입찰을 통해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업체를 선정하던 방식과 달리, 적격성 심사를 통과한 다수의 공급자가 물품을 등록하는 방식이다.

 MAS는 올해 첫 시행 원년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성공적’이었다는 평가. 먼저 조달문호 개방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 적격성 심사만 통과하면 누구나 조달 입찰에 참가할 수 있어 참여 업체 수는 크게 늘었다. 실례로 복사기 등 사무기기는 지난해 복수 입찰제보다 업체수 면에서는 2배 이상 증가했다. 수요자로서도 정해진 사양에 따라 피동적으로 물품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사양의 제품을 비교 구매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경쟁이 치열해져 조달 가격은 기대와 달리 큰 변화가 없었다. PC 부문도 약간의 시행착오가 발생했다. 조달청에서 MAS를 시행했지만 행자부가 행정전산망(행망)을 통한 조달시스템을 고수해 업체 입장에서는 이중으로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었다. 이 때문에 수요자(정부) 위주의 정책이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전망=업계는 내년 IT 조달시장이 올해에 비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행망 컴퓨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교체 수요가 일어나고 경기도 서서히 회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바뀐 조달제도가 정착하면서 구매처도 가격보다는 품질과 서비스에 치중하는 경향이 높아져 제품 단가도 높아질 전망이다.

 산업계에서는 올해에 비해 최소 10% 이상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져 PC와 복사기 등 OA부문을 통틀어 25% 이상을 점치고 있다.

 MAS도 본궤도에 오르면서 투명한 조달시장 정착에 기여할 전망이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다양한 수요 충족과 구매 물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MAS 대상 품목을 올해 5000개에서 내년에는 2만개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가 계약법상 각종 예정 가격의 산출기준이 되는 조달청의 ‘가격 정보’지 게재 품목수도 올해 4만2000개에서 5만개로 늘리기로 했다.

 강병준기자@전자신문, bjk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