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S시장 기선잡기 각축전

SO 장악 우려…통신사업자 "재판매 도입해야"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통신·방송사업자의 TPS 경쟁력 비교

통신과 방송사업자 간 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 시장의 기선 제압 싸움이 시작됐다. TPS는 전화+방송+인터넷을 한데 묶은 서비스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초기시장은 제도적, 기술적 측면에서 한발 앞선 케이블TV사업자(SO)의 시장장악이 예상된다. SO는 하반기 인터넷전화(VoIP) 라이선스를 확보해 서비스 플랫폼 통합을 이룰 계획이다.

 반면 SO·위성방송과의 마케팅 협업모델에 그치는 통신사업자는 정부의 규제제도가 불만이다. 통신사업자들은 TPS시장 진입을 위해 방송의 재판매 개념을 새로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 시작했다.

 ◇시장 진입제도 차이=통신사업자들의 불만은 방송+인터넷에 전화를 추가하는 것이 인터넷+전화에 방송을 추가하는 것보다 쉽다는 점이다. 전화의 경우 재판매 등록을 통한 손쉬운 진입 제도가 있는 반면 방송은 재판매 도입이 취약하다는 것. 방송을 재판매하려면 SO, RO 등 사업라이선스를 확보해야 해 장벽이 높다.

 ◇기술적 차이= SO의 HFC가 TPS에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권기정 CJ케이블넷 이사는 “SO의 네트워크가 더 효율적”이라며 “통신사업자는 망의 끝에서 끝(peer to peer)을 다 전환해야 하지만 방송사업자는 가입자단까지 이미 TPS를 위한 플랫폼 통합이 돼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입자당 100Mbps급의 서비스도 가능하다”며 “통신사업자가 FTTH를 도입하더라도 경쟁력 차이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통신업계는 HFC망에서 t커머스나 VOD와 같은 신규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인터랙티브TV 형태의 기술 업그레이드가 필요한데 그 경우 HFC망이 유리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 우리나라의 DSL망은 통신실까지 광이 들어와 있어 외국과는 다른 상황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망=SO의 시장 조기선점이 유리한 상황이다. SO의 외자유입과 합종연횡에 따른 시장 주도권 확보도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조 단위 매출과 마케팅 경험, 전국단위 사업을 가진 통신사업자들이 시장에 본격 진입할 경우 국면전환도 예상할 수 있다.

 하나로텔레콤 관계자는 “설비경쟁의 우열이 상품경쟁의 우열에 직접 반영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가입자 접점관리나 서비스의 질과 같은 마케팅 경쟁력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SO 관계자는 “통신사업자가 시장진입을 망설이는 것은 투자대비 수익에 확신이 없기 때문”이라며 “아직까진 협업모델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

사진: TPS시장 본격화를 앞두고 통신사업자와 케이블TV사업자 간 시장선점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통신사업자들은 IPTV를 추진하지만 HFC망에 인터넷전화(VoIP)를 추가하는 SO에 비해 플랫폼 통합이 기술적·제도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하나로텔레콤이 IPTV를 통한 TPS를 시연하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