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 경쟁력 22위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주요 국가 경쟁력 순위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4년 만에 상승 국면으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정책연구원(이사장 조동성)과 국제경쟁력연구원(원장 문휘창)은 9일 발표한 ‘IPS 국가경쟁력보고서 2005’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전세계 66개국 중 22위를 차지해 지난 2001년 보고서를 발간하기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3단계 상승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65.67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캐나다와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아시아 경쟁국가들은 홍콩 10위, 싱가포르 11위, 대만 18위, 일본이 19위를 기록해 모두 한국을 앞섰다. 중국은 24위로 한국보다 2단계 뒤졌으나 지난해 32위에서 8단계 도약하는 등 무서운 기세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은 기업가의 경쟁력에서 전년 대비 5단계 상승한 11위, 전문가의 경쟁력은 전년 대비 3단계 상승한 17위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시장 수요조건 18위, 인프라 등 지원산업 22위, 정치가 및 행정관료 32위, 경영여건 32위로 중위권에 머물렀다. 근로자 경쟁력(61위)과 생산요소조건(57위)은 최하위권에 랭크됐다.

 2004년 보고서와 비교해 보면 근로자(22단계 하락), 정치가 및 행정관료(2단계 하락)를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경쟁력이 상승한 것이 국가 순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은 “경제 발전 단계에 맞춰 ‘저비용 고효율’의 산업구조에서 탈피해 제품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차별화 전략을 추진할 경우 국가 경쟁력지수가 60.90까지 상승해 세계 5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전문경영자와 기술자를 비롯한 전문가 그룹의 비중을 높이고, 한국의 시장구조를 보다 철저히 경쟁지향적 체제로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 이사장은 “한국의 주력산업, 미래 성장산업이 고부가가치화하지 못하고 ‘저비용 고효율’의 저원가 전략으로 국가 및 산업전략을 추진한다면 최악의 경우 57위까지 추락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IPS 국가경쟁력 보고서는 물적요소 4개(시장수요, 인프라 등 지원산업, 경영여건, 생산요소)와 인적요소 4개(기업가, 전문가, 정치가 및 행정관료, 근로자) 등 8개 부문과 그에 따른 총 275개의 하위 변수를 고려, 국내외 통계자료와 전세계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다.

유형준기자@전자신문, hjyo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