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인터넷시장 전망 워크숍` 무슨 얘기 나왔나

14일 열린 ‘휴대인터넷(WiBro) 시장 전망 워크숍’에서는 휴대인터넷을 제2의 CDMA 성공신화로 만들기 위해 꼭 짚어야할 비즈니스모델·기술표준·시장활성화 방안 등 다각적 측면에서 여러 제언들이 쏟아졌다. 또한 정부가 단순히 사업자를 선정하고 주파수 할당대가를 받는데만 머물지 말고 후방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결합서비스 완화· 특화 콘텐츠 육성 등 후속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브로드밴드 멀티미디어가 비즈니스 모델= 초고속인터넷을 이동중에도 접속해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수요는 어떤 것인가. KT, SK텔레콤, 하나로텔레콤 등 휴대인터넷 예비사업자들 뿐만 아니라 이날 함께한 정부 관계자, 학계, 연구계 등 300여명의 참석자들의 관심은 단연 비즈니스 모델에 쏠렸다.

윤문길 항공대 교수는 “게임과 주문형동영상(VoD),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등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광대역 멀티미디어가 휴대인터넷의 킬러앱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KT는 PDA·무선랜 등과의 결합서비스를 제시했고 SKT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보완재 역할을 피력했다. 하나로텔레콤은 증권·보험업체 등 데이터서비스 요구가 높은 이종사업자에 초기부터 MVNO를 도입, 도매서비스에 나설 계획이다.

◇서비스 활성화 위한 후속 대책 내놔야=김성철 ICU 교수는 “휴대인터넷이 사업자와 소비자들에 실질적 이익을 가져다주기 위해서는 유·무선, 통신·방송 결합서비스가 필수적”이라며 “결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법제 및 정책기구 정비가 수반돼야한다”고 지적했다. 김교수는 또 ▲기지국 공용 등 중복 투자를 최소화하고 ▲신규 단말기 출현으로 인한 중고단말기 재활용 방안 마련 ▲가구당 통신비 지출을 낮추고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후속 정책 마련 등에 대해 집중 거론했다.

예비사업자들은 내년 1월3일로 예정된 주파수 할당대가 계획 제출을 놓고 사업자당 1200억원에 육박하는 출연금과 별도의 분기별 사용료 등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재피력했다.

◇‘와이브로 포럼’으로 조기 상용화를=휴대인터넷 서비스업체와 장비업체간 호환성 확보, 현장테스트, 해외로의 장비수출 등 상용화에 필수적인 후속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와이브로 포럼’을 조속히 결성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비스와 장비간 프로파일 작성, 지적재산권(IPR)에 대한 로열티 협상 등 상용화 과정에서 벌어질 각종 이해관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

TTA HPi 표준화 작업을 맡은 홍대형 서강대 교수는 “사업자들과 장비업체들이 실질적인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만큼 와이브로 포럼은 조만간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동호 정통부 PM 역시 “상용화를 위한 세부계획을 위해서는 포럼이나 워킹그룹 등 어떤 형태로든 민간 주도의 협의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지연기자@전자신문, jyju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