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중소 휴대폰업체를 살리자](3)비즈니스 모델을 차별화하자

 국내 중견·중소 휴대폰업체의 벤치마킹 모델은 삼성전자다.

 통신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한국에서 만들어낸 ‘애니콜’ 성공 신화를 또 한번 만들어 보겠다는 포부다. 그래서 하이엔드 일색이다. 신제품을 내놓을 때부터 대당 200달러는 받으려 한다.

 때마침 중국이 지난 2002년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도입과 함께 휴대폰 시장을 개방했다. 16억 시장이 열린 것이다. CDMA 강국인 한국 휴대폰업체은 중국 업체들로부터 뜨거운 구애를 받았다. 물량이 딸려 공급을 못할 정도였다. 부르는 게 값이었다. 이들의 꿈은 머지 않아 이루어질 것만 같았다.

 하지만 일장춘몽으로 끝났다. 중국 업체들은 국내 2∼3개 업체와 공급계약을 맺으면서 국내 업체간 가격 경쟁을 유도했다. 중국만 바로보던 국내 업체들은 당황했다. 가격을 맞추지 못해 선적조차 하지 못하기 일쑤였다. 일부 업체는 미리 구매한 부품을 팔러 다닐 정도였다. 위기의 시작이었다.

 중견·중소업체는 중국 업체를 비난했다. 믿을 수 없는 파트너라는 것이다. 하지만 한 발 물러 들여다보면 스스로 자초한 결과이기도 하다. 사실 중견·중소업체는 연구인력 확보나 기술 안정화없이 중국에 무조건 뛰어들었다. 한국 기술이면 충분하다는 자만감도 있었다. 최고경영자(CEO)는 확실한 전략이 없었고, 자금도 턱없이 모자랐다. 그렇다보니 계약 1건만 취소되면 그대로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약점을 간파한 중국은 더욱 베짱을 부렸다. 중견·중소업체는 이제 “중국에서 철수하고 싶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대로라면 어디를 가더라도 마찬가지다. 연초 러시아 시장이 떠오르자 또 모두 러시아로 달려갔다. 아직 국내 중견·중소업체가 러시아에서 성공했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시장만 달라졌지 내부적으로 변한게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한다. 연구개발(R&D)이면 R&D, 생산이면 생산, 하나만 전문적으로 하라는 것이다. 지난해 중국 비즈니스로 흑자를 낸 양기곤 벨웨이브 사장은 “기술 유출이 우려돼 국내 업체에 생산을 맡기지 못하겠다”며 “국내에도 플랙트로닉스와 같은 전자기기수탁서비스(EMS) 전문업체가 하루빨리 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벨웨이브는 R&D전문업체다.

 또 대기업과 공생 방안도 연구해야 한다. 지금처럼 중견·중소 업체가 메이저업체들과 직접 붙어 비즈니스를 하다간 백전백패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어필텔레콤이 모토로라의 CDMA 휴대폰 연구 및 생산기지로 주목받고 있다. 진정훈 어필텔레콤 사장은 “CDMA 종주국인 한국의 어필텔레콤이 모토로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최근 인텔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처럼 통신 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업체와 전략적제휴도 모색해야 한다. 이들은 칩과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제조는 전혀 경험이 없기 때문에 국내 중견·중소업체와 윈윈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휴대폰업계 관계자는 “중견·중소 휴대폰업체는 세계 톱 10이라는 허황된 꿈을 하루빨리 버려야 할 것”이라며 “철저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익종기자@전자신문, ij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