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 유예 논란 재점화

정통부, SO들 의견 수렴 자리 마련

 수신제한모듈(POD:Point Of Deployment) 장착 의무화와 관련, 정부의 원칙대로 그대로 시행할 것인지 혹은, 업계의 주장대로 유예를 해줄 것인지 논란이 또다시 일고 있다.

 15일 관계 기관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그동안 POD 장착 의무화 방침을 고수해 왔으나 최근 관련업계를 대상으로 POD 유예화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등 그간의 행보와는 다른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POD 장착 유예에 대한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POD는 정통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오픈케이블 방식 디지털 케이블TV의 핵심으로, 그동안 씨앤엠커뮤니케이션 등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이 ‘2004년 POD 장착 의무화’에 대한 유예를 주장해 논란을 불러일으겼다. 이에 대해 정통부는 그동안 ‘의무화 방안 유예를 검토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 업계와 대립해 왔으나 최근 업계의 의견 수렴 작업에 착수함에 따라 POD 장착 유예에 관한 논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SO, ‘2005년말까지 유예하라’=디지털 케이블방송을 서비스하는 주체인 SO들은 POD장착을 2년간 유예해줄 것을 주장하고 있다. 씨앤엠커뮤니케이션의 성기현 상무는 “현재 POD 공급업체가 외국 SCM 한군데로 독점인 상황”이라며 “(정통부의)POD 의무화 방침은 2005년말까지 유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내 기술분과위원장이기도 한 성 상무는 “지금 의무화해서 국내 SO들이 모두 외국업체 POD를 도입하게 되면 국내 개발업체들은 설 땅이 없다”고 덧붙였다. CJ케이블넷의 왕용훈 기술전략팀 부장 역시 “(CJ케이블넷이)SCM측에 POD 계약을 위해 납품 시기와 수량을 전달했으나 아직 가격조차 통보받지 못했다”며 “독점인 상황이라서 가격 협상 자체가 성립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한국이 오픈케이블 방식 첫 시장이기 때문에 기술적 안정성 부분에 대한 불안도 남아있다고 SO측은 주장한다. 이에 따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측은 필요하다면 이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통부에 2년간 유예화를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국내 POD개발업체인 인터랙텍의 홍문호 연구소장은 “국내업체든 외국업체든 또 다른 POD 제공업체가 나와 복수 공급업체 구도가 될때까지 유예화해야한다”고 말했다. 홍 소장은 그러나 “인터랙텍은 6월까지 제품 개발은 가능하나 그 후 CAS업체와의 정합 작업이 있기 때문에 상용화 시기를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말했다.

 ◇셋톱업체, ‘더 이상 유예화는 안 된다’=삼성전자·LG전자 등 디지털 케이블TV용 셋톱업체는 유예화 논의 자체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

 삼성전자의 셋톱담당 심정보 과장은 “지금까지 유·무형으로 (오픈케이블방식의)셋톱 개발에 100억원 이상이 들어갔다”며 “이미 지난해 한차례 유예화를 통해 준비 기간이 있었던 만큼 정통부는 흔들리지 말아야한다”고 말했다. LG전자 역시“정통부가 오락가락하면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져 개발 및 양산 추진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LG전자의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100억원 가까운 유·무형의 투자가 있었고 이제 2분기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며 “올해 유예화를 인정해 주면(정통부가 주장해 온) 오픈케이블 방식은 무의미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휴맥스와 주홍정보통신은 “더이상 유예는 안되지만 실제 구매자인 SO들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해 향후 사업 정책을 짤 것”이라는 다소 유연한 태도다.

 여기에 디지털미디어센터(DMC)사업자인 BSI 역시 유예화 불가론을 펴고 있다. BSI의 이상용 상무는 “지난해 9월 시스템 방식을 최종 결정할 때 정통부에 재삼 정책방향을 문의한 후 정통부 정책대로 POD 장착쪽으로 투자를 했다”며 “이제 시스템 구축을 마쳤는데 유예 논의라니 말도 안된다”고 꼬집었다.

 <성호철기자 hcsu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