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시범사업 등 전향적인 정책 필요

 일본, 독일 등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는 국내 로봇산업을 단기간내에 도약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수요처·기업·연구소 등이 함께 참여하는 ‘로봇 시범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인위적으로 부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서울산업대학교 김종형 교수는 최근 개최된 제2회 로봇포럼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대규모 사업이 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초기에는 인위적인 출발 에너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로봇 시범사업을 통해 한국이 로봇 개발의 테스트 베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로봇 시범 아파트를 지정해 가정용 로봇을 테스트하고 △재난 극복용 필드 로봇 등을 소방서나 학교 등에서 시범 적용하며 △지역별 주요 제조업체의 산업용 로봇 및 시스템을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기술지역혁신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로봇 시범 아파트의 경우 오는 2008년까지 총 160억원의 정부 및 지자체·민간 투자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럴 경우 오는 2008년에는 총 2000억원의 매출과 1000여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산업용 로봇의 경우 국산 제품이 발을 못붙이고 있는 점을 감안해 대규모 제조·생산 단지를 중심으로 로봇 지원 크러스터를 조성해 시범 파일롯 라인을 설치, 시험 평가를 하고 객관적인 평가기관에서 이와 관련된 인증서를 발급, 수요처의 사용을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기술 지역 혁신 거점으로는 △천안지역의 LCD물류장비 부문 △울산지역의 자동차 로봇 부문 △거제 지역의 조선용 로봇 클러스터 등을 제안했다. 이러한 기술지역 혁신 거점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오는 2008년에는 2조원의 매출과 2000여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김종형 교수는 설명했다.

 한편 이날 로봇 포럼에서 진행된 패널토의에서 로보스타의 김정호 사장은 반도체·LCD 장비분야에 로봇 기술이 많이 활용되는 만큼 로봇관련 협회와 반도체 및 LCD 관련 협회간의 교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으며 창원로봇밸리의 박명환 사장은 3개 지역 허브로 진행되는 로봇 개발 거점간에 중복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사전 역할 조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산업자원부의 김경종 과장은 “예산 책정 작업과 사업단장 선정 작업 등을 상반기내에 마무리하고 적극적으로 로봇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라며 “공공기업의 경우 국산 로봇을 우대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