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 R&D특구 지정 어떻게 되나

"신성장동력·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에도 기여"

 대덕연구단지의 종합 R&D특구 지정 작업이 급물살을 타면서 전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대덕연구단지의 역할과 기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오명 장관의 의중은 대덕연구단지를 동북아 R&D 허브 구축을 위한 국가균형발전의 모델로 육성할 방침임을 밝힌 그동안의 과기부 방침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 장관의 발언은 향후 이 지역이 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과 함께 충남 천안밸리-충북 오송 및 오창과학단지를 잇는 산·학·연 클러스터의 핵심 축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움직임은 이미 지난해말 노무현 대통령이 대덕연구단지를 방문, “필요하다면 대덕을 R&D특구로 지정하고 관련 법률과 추진체계를 정비할 것”이란 발언 이후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지정추진 의미=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스핀오프된 소규모 기술집약형 첨단 벤처기업과 융합하는 R&D 거점 구역의 역할을 수행하며 첨단 과학기술 인력의 집적지로서의 위상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전망이다.

 특히 대덕연구단지와 인근 충남의 천안밸리와 충북의 오창·오송단지가 삼각벨트형 클러스터로 로 연계될 전망이어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벤처기업, 대학 등이 융화되는 신산업 창출의 요람으로 자리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육성방안=정부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스핀오프(Spin-off)한 소규모 기술집약형 첨단 벤처기업과 융합하는 R&D 거점 구역의 역할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대덕연구단지의 경우, 국내 IT의 메카로 일컫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정보통신대학교, BT분야에서는 생명공학연구원과 LG생명과학연구원 등 민간연구소 등이 자리하고 있다. 또 원자력 분야에서는 원자력연구소와 한수원,환경기술원 등 민간 연구소가 즐비, 이들을 기반으로 하는 벤처기업과 어우러진 산·학·연 모델로 육성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오는 2005년부터 가동에 들어갈 한국과학기술원의 나노종합팹센터 등과 충남의 디스플레이 산업,충북의 바이오 산업이 결합되는 IT,NT,BT의 융합기술 개발과 산업화에 초점을 맞춘다면 정부가 추진중인 신성장 동력과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에도 크게 한 몫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추진전략=대덕연구단지는 과학기술부 R&D예산의 48.9%가 투자되는 등 명실공히 과학기술계의 중심이기 때문에 과학기술부도 대덕의 R&D특구에 종합기능을 부여하는데 무게를 싣고 있다. 부지의 경우 대덕연구단지 840만 평 가운데 실제 개발이 가능한 그린벨트 38만평 정도를 형질변경하고 벤처 복합 단지로 조성 중인 대덕테크노밸리 129만평을 포함한다면 모자라는 추가 부지 확보에는 무리가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또 국회에 계류 중인 지역특화발전 특구법의 경우 규제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R&D특구 지정에는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다른 형태의 특별법 제정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추진일정=정부는 우선 이달 내 R&D특구 추진체제 구성을 위해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하에 대덕 종합연구개발특구 추진단과 실무 지원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또 오는 상반기까지는 R&D특구 육성방안 및 특별법(안)을 마련한 뒤 늦어도 하반기에는 특별법 제정과 이에 따른 특구 지정을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출연연 관계자는 “그동안 말로만 무성하던 특구 지정이 가시화 되는 느낌”이라며 “대덕연구단지가 국가 R&D개발의 중심역할을 수행할 역량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