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대 가스산업 관련공사의 수장자리가 모두 공석상태에 놓임에 따라 관련업계가 크게 동요하고 있다. 특히 최근 수년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스에너지 수급문제나 가스산업구조개편 등과 같은 굵직한 현안이 산적해 조속한 후임인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1일 한국가스안전공사(http://www.kgs.or.kr)는 오홍근 사장<사진>이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홍보처장과 청와대 공보수석을 지낸 오 사장은 최근 대한매일신문사의 최고경영자 후보 중 한 사람으로 추천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 사장은 “가스안전공사의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다른 회사 사장 후보 추천에 응하는 것은 공사 직원들에 대한 도리가 아니라고 판단해 사표를 내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국가스공사(http://www.kogas.or.kr)의 김명규 전 사장<사진>은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는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로 검찰에 구속수감됨에 따라 지난달 22일 사표를 제출, 현재 김종술 부사장이 업무대행중이다. 김 전 사장 역시 국민의 정부 시절 민주당 총재특별보좌역 등을 지낸 바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9월께나 되야 후임사장 인선이 가닥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다”며 “그전까지는 신규사업 등 주요사업의 추진을 전면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가스공사는 김 사장 구속 직전까지 수익구조 다변화 차원에서 인천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에 LNG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방안을 추진중이었다.
특히 가스공사 후임사장 인선과 관련해 최근 산자부 차관출신 인사의 임명설이 오르내리자 공사 노조가 성명서를 통해 ‘낙하산 인사의 절대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나서는 등 적잖은 내홍이 예상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 겨울 LNG 재고 부족으로 일부 발전소가 연료를 석유류로 바꾸는 등 최근들어 가스에너지 수급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가스산업구조개편 등 산적한 현안이 놓여 있는 상태에서 수개월씩 관련공사의 사장직이 공석에 놓여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가 기간산업인 국내 가스산업의 특성상 관련공사의 역할과 책임이 크다”며 “각종 규제와 인·허가 권한을 갖고 있는 두 공사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관련업계의 생사여탈권이 달려 있는 만큼 하루 빨리 안정을 되찾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데스크라인] TSMC의 삼성 고사(枯死) 작전
-
2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
3
삼성전자 “올해 HBM 공급량 2배 확대”
-
4
삼성전자, 작년 300.9조원 매출로 역대 두번째…4분기 반도체 이익은 '뚝'
-
5
휴먼인모션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으로 캐나다 공략”
-
6
SK온, 3사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 도약”
-
7
“데이터 실시간 공유”…LG엔솔, 소재·부품 협력사와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
8
고려아연 SMC “영풍 주식 취득은 정당한 조치”
-
9
천장 공사없이 시스템에어컨 설치…삼성전자, 인테리어핏 키트 출시
-
10
美 상무부 지명자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약속 못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