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홈 구축돼야

 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디지털홈 구축계획’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IT 기술적인 부분 외에도 디지털홈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디지털홈을 구축,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디지털홈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난 4월 30일 국회를 통과한 주택법에 관련 내용이 포함돼야 더욱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됐다.

 전자신문이 후원하고 정보통신부 주최로 삼성동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디지털홈 구축계획에 대한 공청회’에서 대한주택공사 임미숙 수석연구원은 “현재 주택법에는 주택내 통신서비스 장비에 대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 아파트 단지내 구내단자함(MDF)실에 5, 6개의 통신장비가 난립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홈 실무추진위에 건축분과를 두는 것이 필요하며 건교부와의 협력도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한국전산원의 신상철 단장은 “디지털홈 서비스를 위해서는 망 고도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FTTH방식의 망 구축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정통부가 시행중인 초고속건물 인증제도에 특등급을 신설해 FTTH방식의 주택건설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당동 래미안아파트 892가구에서 시범서비스한 결과 실질적으로 FTTH망이 유지보수까지 감안하면 기존 구리망보다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표준화와 관련해선 정부의 역할이 제한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LG전자의 박현 상무는 “디지털홈 서비스를 위해서는 일정 부분의 표준화가 선행돼야 하나 정부의 표준화는 물리적인 계층인 코어부분에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그 윗단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은 업체들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윤용덕 상무는 “디지털홈과 관련된 기반기술은 이미 선진업체가 대부분 확보한 상태여서 무리해서 독자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콘텐츠 부문 등 아직까지 표준화가 안된 부분은 이번 디지털홈 구축을 계기로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