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일부나 사지가 불편한 장애우들도 눈동자나 머리 움직임만으로도 원하는 일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간친화복지로봇시스템 연구센터(HWRS-ERC 센터장 변증남 교수)가 23∼25일 원내 대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인 ‘제8차 재활로봇 국제 학술회의’. 이곳에서는 근육의 움직임만으로도 휠체어나 로봇을 움직이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국내외 첨단기술들이 대거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일본에서 초청된 사지마비 장애인이 직접 시연해 보일 재활로봇이 공개될 예정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에 전시될 주요로봇을 소개한다.
△휠체어 로봇팔 시스템
KAIST가 98년부터 ‘중점국가연구개발사업 서비스로봇기술개발과제’의 일환으로 개발했다.
이 로봇은 12가지의 작업 보조가 가능하며 얼굴이나 물체 인식 및 추적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 눈동자 및 머리의 움직임으로 마우스 조작이 가능하며 햅틱 슈트 장치를 장착,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휠체어 및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다.
△일본 세콤사의 ‘마이 스푼(My Spoon)’
음식을 씹기 힘들거나 삼키기 어려운 환자 또는 고개를 움직이지 못하거나 60도 정도의 수직상태로 앉아 있을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개발됐다.
조이스틱을 이용, 식대 안의 어떤 음식이라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좌우, 상하 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프랑스 INT사의 ‘마뉴스 로봇(Manus Robot)’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생활을 편하게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지능로봇이다.
의족 역할이 가능하고 사지마비 장애우들의 활동을 도울 수 있는 휠체어와 턱받이 교정을 통해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사지마비나 소아마비 같은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의 근육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장난감 등의 역할을 대행할 수 있다.
△인텔리전트 휠체어 ‘MR.휴리’
인천의 재활공학연구소 문인혁 박사팀이 장애우를 위해 개발한 제품이다.
음성이나 얼굴 제스처, 어깨의 근전도 신호 등 생태신호로 호출을 하거나 얼굴 표정으로 휠체어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초음파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 장애물을 스스로 피할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 완벽한 이동이 가능하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IT 많이 본 뉴스
-
1
케이스티파이, 삼성 갤럭시S25 케이스 공개
-
2
삼성MX·네트워크, 작년 영업익 10.6조…갤럭시AI로 반등 노린다
-
3
'라젠카'·'레드바론' 연출 고성철 감독, 100스튜디오서 한-일 애니메이션 가교
-
4
LGU+, 파주 AIDC 착공 9부 능선 넘었다
-
5
용산 국립한글박물관에 불…유인촌 현장 도착 “진압에 최선 다해달라”
-
6
애플, 흑인 역사의 달 기념한 '블랙 유니티 시리즈' 공개
-
7
화웨이, 네팔 50억 규모 데이터센터 계약…美 영향 벗고 남아시아 입지 강화
-
8
KT, AI-RAN 얼라이언스 합류
-
9
[ET시론]글로벌 K콘텐츠의 다음 스테이지, 넥스트K
-
10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시즌3 6월 27일 공개 확정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