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 슈퍼컴퓨터 시장에서 인텔 프로세서의 장악력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고등과학원(KIAS)의 계산과학부팀(이주영 교수)이 국내 최대 규모의 AMD 칩 기반의 리눅스 클러스터 슈퍼컴퓨터를 가동, 주목받고 있다.
AMD 애슬론 프로세서(1 ,2㎓·2200PM 등)를 병렬 연결한 리눅스 클러스터 슈퍼컴퓨터 ‘진’은 단백질 유전자 해석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01년 77계산노드로 처음 구축, 올 초 세번째 확장(128노드)을 거쳐 현재 275계산노드와 17대 서버로 구성됐다.
인텔 칩을 포함해 국내 클러스터 슈퍼컴퓨터 중 가장 많은 CPU(504개)가 사용된 ‘진’의 이론성능치는 약 800기가플롭스. 그러나 실질 성능치는 각 노드마다 다른 종류의 CPU가 사용돼 성능측정이 어렵고, 슈퍼컴퓨터의 실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메모리나 네트워크 성능이 낮아 ‘Top오아르지닷컴’에 등록될 성능은 구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KIAS측의 설명이다.
컴퓨터 제작을 맡은 KIAS 주기영 연구원은 AMD칩을 채택한 이유에 대해 “타사의 칩과 실제 벤치마킹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메모리 성능에서 뒤지는 게 사실이지만 연구목적의 실수계산 능력에 직결되는 CPU 성능에서는 단연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 선택했다”고 밝혔다.
KIAS 계산과학부팀은 x86-64 비트 기반 프로세서인 옵테론은 메모리 성능의 개선뿐 아니라 기존 32비트 기반으로 개발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별도의 에뮬레이션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추가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혜선기자 shinhs@etnews.co.kr>
SW 많이 본 뉴스
-
1
엎친데 덮친 디플정…특별법·민간위 난항
-
2
소프트뱅크 “오픈AI에 최대 36조원 투자 타진”
-
3
[이슈플러스]국가망보안체계 시대 개막…공공엔 과제·산업계엔 지원 중책
-
4
美, 中 딥시크 'AI 개발에 수출 금지 반도체 활용' 확인한다
-
5
오픈AI, 추론 소형 모델 'o3 미니' 출시… AI 경쟁 가열
-
6
바이코노미, XRPL 지원 발표…리플 생태계 전격 진출
-
7
딥시크에 알리바바까지…미·중 AI 패권 전쟁 격화
-
8
MS, 4분기 매출 전년동기 比 10%↑…클라우드 기대치 밑돌자 주가는 하락
-
9
국산 '타란툴라 DB', KB·미래에셋·하나·교보증권 등에 공급
-
10
“미 해군, 中 AI 딥시크 사용 금지…보안 우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