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인터넷 대란’을 계기로 네트워크의 보안과 품질(QoS)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비동기전송모드(ATM)가 대안으로 급부상했다.
2일 정통부 고위 관계자는 “1·25 인터넷 대란이 웜바이러스인 ‘SQL 슬래머’에 의한 트래픽 공격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를 보완하는 방법의 하나로 현 라우터 중심의 공중망을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 기반의 ATM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초고속국가망이 ALL IP망으로 진화할 것으로 보고 정부는 813억1000만원 규모의 ‘3단계 ATM망 구축계획’을 수립, 시행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정통부의 방침은 이번 인터넷 대란으로 인해 라우터 중심의 IP망인 공중망의 보안기능과 QoS의 약점이 부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통부는 라우터의 경우 MPLS기술을 도입한다 해도 QoS를 ATM만큼 끌어올릴 수 없다는 자체 판단에 따라 3단계 ATM망 구축계획과 연계해 ATM 중심의 공중망 구축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업계는 ATM에 대해 QoS와 보안성이 뛰어지만 IP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는 점과 장비가격이 고가라는 점을 단점으로 지적해왔다. 반면 라우터는 대용량 IP 트래픽 처리의 우수성과 ATM에 비해 저가라는 점이 부각됐다. 업계는 이런 ‘현실론’을 앞세워 일반 공중망에 라우터를 집중적으로 도입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ATM, 라우터나 MPLS기술을 도입하는 등 기술을 개선해 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나 ATM에 비해 라우터는 근본적으로 QoS·보안에 취약하다”며 “하지만 ATM은 단점으로 지적돼온 트래픽 처리와 장비가격 측면에서 라우터에 비교될 정도의 진전을 이룩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1·25 인터넷 대란의 주원인으로 밝혀진 망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MPLS 기반의 ATM을 공중망에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더욱 힘을 받을 전망이다.
KT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아직 검토단계여서 어떤 입장을 말할 단계는 아니다”면서도 “이번 1·25 인터넷 대란이 라우터망의 불안정성에도 일부 요인이 있는 만큼 망 고도화 차원에서 MPLS 기반의 ATM 도입 가능성이 커진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사내에는 공중망의 경우 이미 라우터 기반의 IP망이 잘 구축돼 있는데 굳이 ATM으로 갈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도 아직 많다”며 “사내외의 의견수렴 과정을 충분히 거친 후 결론이 내려질 것”이라는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정부가 ATM망 중심의 국가망을 선도망으로 해 공중망에도 이를 도입토록 유도한다는 방침이어서 ATM이 공중망에도 도입되는 추세가 확산될 것으로 보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정부는 특히 ATM이 라우터와는 달리 국내 ATM 장비업체들이 기술적인 우위를 갖고 있어 해외 진출 품목으로도 유리하다고 보고 집중적으로 육성할 방침이어서 네트워크 장비산업의 활성화도 기대됐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
IT 많이 본 뉴스
-
1
日 삼성월렛 서비스 시작…갤S25 시너지 노린다
-
2
SKT, 갤S25 출시 기념 2월 멤버십 혜택 강화
-
3
삼성MX·네트워크, 작년 영업익 10.6조…갤럭시AI로 반등 노린다
-
4
이통사, 사내 업무에 AI 접목…근무 효율·생산성 개선
-
5
용산 국립한글박물관에 불…유인촌 현장 도착 “진압에 최선 다해달라”
-
6
스타링크 단말 선박·항공기 이용 쉽게 전파법 시행령 개정
-
7
베트남 겨냥한 넥슨, 현지 개발 자회사 'NDVN' 역할 확장
-
8
애플, 흑인 역사의 달 기념한 '블랙 유니티 시리즈' 공개
-
9
휴대폰 번호이동 시들…단통법 폐지 앞두고 대기수요 영향
-
10
[ET시론] 한국형 AI 정책은 진지 구축이 먼저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