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02년 세계 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은 80개국 중 21위였다. 하지만 성장잠재력의 척도인 기술경쟁력은 세계 9위에서 18위로 떨어졌다.
자원빈국인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은 기술경쟁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술경쟁력이 이처럼 추락한 것은 우리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21세기는 지식정보사회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없는 국가발전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과학기술은 분명 경제발전의 최상위 수단이다. 세계 최고의 기술경쟁력 확보만이 국민의 경제적 풍요를 보장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몇 가지 있을 것이다.
첫째,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는 나라 가운데 기술선진국이 아닌 국가는 하나도 없으며 기술선진국은 모두 연구중심 이공계 대학의 육성으로 이룩됐다. 미국의 경우 연구 중심의 대학이 100여개나 된다. 계속 지적되는 문제지만 우리도 연구 중심의 이공계 대학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교수의 연구비를 증액하는 한편 장학금을 확대해 학생들의 자긍심과 사기를 올려야 한다.
둘째, 과학자 연금제도의 조속한 실시로 연구원들이 퇴직 후를 걱정하지 않고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학자가 최고 선망의 직업으로 인식되도록 과학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하는 것이다. 60년대부터 조성된 이공계 중시정책으로 인재의 대부분이 이공계에 몰렸고 그 결과 한강의 기적을 낳은 과거 경험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셋째, 경제적 풍요를 추구하는 마음만큼이나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넷째, 세계적인 수준의 이공계 박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필요하다. 적당히 박사학위 논문을 써서 학위를 따는 풍토는 지양해야 한다. 박사학위 논문이 SCI에 게재될 때 박사학위를 줘야 한다. 이렇게 박사학위를 주는 대학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섯째,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신입연구원의 처우를 차별화해야 한다. 이를테면 같은 학교 출신의 박사라도 학부과정부터 박사과정까지의 성적이 다르고 박사과정 때 쓴 논문의 내용도 다르다. 신입연구원의 경우 실력을 평가해 보수의 수준을 차등적용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렇게 되면 대학의 면학 분위기 조성에 상당히 기여하게 돼 세계적 수준의 박사가 배출되고 민간연구소로의 파급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김병연 충북 청주시 상당구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국회, 계엄해제 결의안 통과....굳게 닫힌 국무회의실
-
2
尹 "계엄 선포 6시간만에 해제하겠다”
-
3
'尹 계엄 해제'에… 與 “국방부 장관 해임” 野 “즉시 하야”
-
4
尹, 6시간만에 계엄 해제…'탄핵·책임론' 뇌관으로
-
5
[계엄 후폭풍]대통령실 수석이상 일괄 사의
-
6
“딸과 서로 뺌 때려”...트럼프 교육부 장관 후보 '막장 교육'?
-
7
한총리 “국무위원 전원 사의 표명에 마지막 순간까지 국민 섬길것…내각 소임 다해달라”
-
8
[계엄 후폭풍]대통령실·내각 사의 표명…'정책 콘트롤타워' 부재
-
9
속보정부, 국무총리 주재로 내각 총사퇴 논의
-
10
국회 도착한 박지원 의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