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A 경쟁력 강화 정책` 관련부처 행보 분주

 포스트PC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PDA산업 육성을 놓고 관계 부처가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관계자의 퇴직과 최종 기획연구 결과물 부실로 한동안 어려움을 겪어온 정보통신부는 조직 재정비 등을 내세워 PDA 경쟁력 강화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산업자원부는 관련사업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포스트PC사업을 두고 두 부처가 치열한 경쟁을 벌여 왔다는 점에 비춰 보면 앞으로 양측의 움직임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새롭게 시작하는 정통부=지난해 3월 정통부는 PC 중심의 국내 정보통신산업을 PDA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재편키로 하고 지난해 200억원을 포함, 앞으로 3년간 총 1000억원을 투입키로 하는 ‘PDA경쟁력 강화방안’을 의욕적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과제를 도출하는 기획연구 진행도중 대기업들이 이 작업에 불참하고 과제 성격도 예산상 선도기술 개발과제에서 산업기술 개발과제로 바뀌는 등 한차례 우여곡절을 겪었다. 기획연구 활동은 지난해 10월 이후 미진한 형편이고 지난해 말 이 프로젝트를 수행해오던 담당자마저 퇴직하면서 사업재기 여부가 불투명하다.

 기획연구작업에 참여한 업계 한 관계자는 “정보통신부의 PDA 경쟁력 강화방안은 말만 요란했을 뿐 전혀 투자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실상 중단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이를 수행해 오던 담당자의 퇴직으로 PDA 개발프로젝트가 중단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 사업은 향후 성장유망 분야라는 점에서 절대 소홀히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통부는 PDA 경쟁력 강화 방안을 재점검하고 조직정비와 함께 차질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빠르게 움직이는 산업자원부=산업자원부도 PDA사업에 대한 의욕이 대단하다. 그동안 정통부와의 경쟁에서 밀려 디지털가전 등에 접목되는 포스트PC 등 일부분만을 맡게 된 산업자원부는 지난해 7월 PDA를 포함한 포스트PC 분야의 기술개발 환경지원, 전문정보 지원, 전문인력 양성, 협력체계 구축, 기능검증 지원 업무를 맡는 포스트PC지원센터를 한국전자부품연구원에 설립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민·관 합쳐 총 사업비 279억원을 투입하는 중기거점과제인 ‘디지털가전 포스트PC 플랫폼 개발사업’을 시작, 현재 1차연도 사업계획을 진행중이다. 이 개발사업은 재구성형 프로세서급 SOC연구개발, 디지털가전 포스트PC 통합플랫폼 등 총 4개 과제로 구성됐으며 오는 2004년까지 3년동안 3단계에 거쳐 진행된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