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IT화 궤도수정 조짐

 ‘1월말 현재 1만8000여개 업체’. 이 성적은 산업자원부와 중소기업청이 지난해부터 추진중인 ‘3만개 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에 대한 업체 지원 현황이다.

 물론 지원 현황이지만 1만8000개는 당초 목표인 2001년 8000개, 2002년 1만개를 이미 초과 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선별작업을 거친 실제 지원도 이르면 상반기중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중소기업의 정보화 요구가 커지면서 정부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이제는 무조건적인 기업수량베이스의 정보화 확산이 아닌 업종별 효율적 지원을 고려할 때가 아니냐는 것이 고민의 출발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부진한 제조업 분야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일부에서 부각되고 있는 것도 한정된 예산을 집행하는 정부로서는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산업연구원이 최근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정보화 마인드 및 수준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업종별 특성, 서플라이 체인 내의 위치, 해당기업의 경영전략 등 구조적 요인을 고려한 정보화 추진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이 정보화에 따른 효과분석에서 업무결산 속도 향상, 고객응답속도 향상, 의사결정시간 단축 및 경영투명성 향상에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나 제품개발기간 단축, 1인당 생산성 향상, 재고감소 등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의 정보화 목적이 일반적인 경영효율 개선으로 치우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즉 자동차 부품 및 전자제품 업종의 경우 재고 감소 및 제품개발기간이 중요한 경쟁력 요소이고 섬유는 고객응답속도 및 제품개발기간 단축에 정보화가 활용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업종별 특성을 감안한 정보화 추진은 아직까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최근 정부는 향후 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을 업종별 특성, 기업의 위치 등을 전략적으로 고려해 정보화가 경영혁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지원정책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지원중인 ‘대기업·중소기업간 협업적 IT화’의 업종별 성공모델을 조기에 구축하는 한편 정보화와 프로세스·조직혁신프로그램 연계 지원 등의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문제도 있다. 정부가 업종별 우선지원으로 방향을 잡을 경우 신청순서를 원칙으로 하는 기존 지원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업계 반발도 예상된다.

 그러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시너지를 높여야 하는 정부로서는 이제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목표를 초과 달성하고 있는 3만개 중소기업 IT화 사업의 추진 방향에 변화가 필요하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