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업계가 민간 매칭펀드 결성을 위해 한바탕 홍역을 치르고 있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벤처캐피털들은 정부부처 및 국민연금이 출자하는 벤처투자조합(펀드)의 업무집행조합원사 신청을 앞두고 민간투자자금을 사전에 확보하지 못해 고심하고 있다. 단기간내에 수많은 펀드결성 계획이 쏟아지면서 벤처캐피털들의 자금수요가 한꺼번에 몰렸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털들은 회사의 대주주는 물론 그동안 자사펀드에 출자했던 회사 등을 상대로 치열한 자금유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워낙 많은 조합결성이 겹쳐 조합결성 실패까지 우려되는 등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전망이다.
올 1분기 펀드 결성이 확정된 출연금만 중기청(1000억원 이상), 국민연금(1000억원), 과기부(100억원), 산자부(70억원) 등 총 2170억원에 이른다. 또 이들 출연금에 대한 매칭자금 수요는 업무집행조합원 출자금을 제외하고도 3000억여원에 이른다.
중기청 펀드의 경우 중기청 출연금(30%)과 업무집행조합원(5%)을 제외한 매칭자금의 비율이 65%다. 1분기 1000억원의 자금을 집행할 경우 2166억원의 민간자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현재 업무집행조합원을 모집중인 국민연금 조합결성도 업무집행조합원을 제외하고 최소 700억원 이상의 민간자금이 요구된다.
또 과기부의 MOST5, 6호 결성을 위해서도 10억∼110억원의 민간자금이 필요하며 산자부(기술거래소)의 기술사업화투자조합 결성에도 120억∼170억원의 매칭자금을 모아야 한다.
정통부도 아직 구체적인 일정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이월금 400억원을 포함한 850억원을 1분기 중 벤처투자조합에 출자할 계획이다. 이 경우 1700억원(60%)의 민간자금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조기자금 집행계획을 발표한 문화부(250억원), 농림부(100억원) 등의 펀드 집행에도 최소 300억원 이상의 민간자금이 필요할 전망이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정통부, 문화부, 농림부 등이 출연하는 민간 매칭펀드의 경우 2000억여원의 민간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다.
벤처캐피털업계 한 관계자는 “펀드 결성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아직 자금을 구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자칫하면 업무집행조합원 선정 후에 그 자격을 반납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될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민간자금 성격을 가진 국민연금과 다른 정부 출연금간의 상호 출자, 조합 규모 축소를 통한 다수 벤처캐피털의 참여 유도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챗GPT 검색 개방…구글과 한판 승부
-
2
SKT, 에이닷 수익화 시동...새해 통역콜 제값 받는다
-
3
비트코인 11만달러 눈앞…트럼프 發 랠리에 20만달러 전망도
-
4
올해 하이브리드차 판매 '사상 최대'…전기차는 2년째 역성장
-
5
에이치엔에스하이텍 “ACF 사업 호조, 내년 매출 1000억 넘긴다”
-
6
갤럭시S25 '빅스비' 더 똑똑해진다…LLM 적용
-
7
테슬라, 3만 달러 저가형 전기차 첫 출시
-
8
“팰리세이드 740만원 할인”…車 12월 판매 총력전 돌입
-
9
정부전용 AI 플랫폼 개발…새해 1분기 사업자 선정
-
10
곽동신 한미반도체 대표, 회장 승진…HBM 신장비 출시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