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테크]전자정부와 ESP-성공적인 시스템 구축

◆국민과 새 관계설정 필요

-정부의 변화

전자정부에 대해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논쟁거리 가운데 하나는 일반국민과 정부간 관계설정에 대한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정부와 기업간, 소비자간, 근로자간, 그리고 정부와 정부간 거래 내용을 살펴보자. 그림을 통해 대부분의 거래는 정부와 국민간에 발생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현재(가로축 1)에서부터 거래(가로축 3)로의 이동은 정부가 스스로나 혹은 가치사슬의 구성원과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는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어떤 방법을 통해서든 정부가 다른 서비스보다 우월하다는 점을 국민에게 확인시켜야 한다.

 이는 민간부문과 대조된다. 민간부문은 금전적 이익을 얻기 위해 서비스의 우월성을 소비자에게 내보이는 데 반해 정부는 금전적 이익은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국민에게 서비스의 전문성을 인식시켜야 하는데 이는 외부 서비스 제공업체(ESP:External Services Providers)를 통해 가능하다. 특히 전문성은 정부가 새로운 정부모델을 정의하는 데 새로운 기술이나 과정의 완성을 기반으로 한다.

 

◆ESP 시장 전략적 접근해야

-전자정부의 기반

전자정부의 기반을 변화시키기 위해 ESP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전자정부는 내부 및 외부 비즈니스를 동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IT자원 및 서비스를 비즈니스 목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또한 전자정부의 프로그램이 복잡해지고 영역이 모호해지면 국민은 전자정부의 실현전망을 어둡게 본다. 이는 ESP의 역할이 점차 어려워진다는 말이다. 따라서 ESP들은 보다 전략적으로 유권자에게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초기단계 전자정부 프로그램은 진행중인 정부내 시스템을 그대로 복제하는 경향을 띤다. 그리고 일부만 ESP를 선택해 개선되기 시작한다. ESP의 선택은 중요한 작업과정이다. 그러나 일부만 ESP를 도입하는 행위는 매우 근시안적인 것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정부는 민간부문의 가장 좋은 경험과 채널전략, 응용기술, 인프라구축 등 필수적인 주요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해 ESP를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자정부 구축을 위해 시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ESP 전문성을 파악해두어야 한다.

◆정부 IT관계자 이해 필수적

-정부 IT부문의 역할

정부는 전자정부 프로그램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향후 변화할 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도 직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IT부문 관계자들은 대부분 진행중인 비즈니스에 대해 변화를 주고자 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정부는 물론 ESP들도 기술적용 및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은 변화하고 있다. 최근 들어 대부분의 정부 IT부문 관계자들은 기술향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또 일부는 신기술을 빠르게 적용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에 힘입어 정부 IT구성원들은 비즈니스 모델이나 기술혁신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고 따라서 e비즈니스의 도입은 정부가 갖춘 기본 요소가 되고 있다.

 

 실제 많은 정부 IT 관계자 부문들은 더 이상 신기술을 도입하려 하지 않는다. 이런 추세는 전자정부에 대해 더 많은 내용을 알고 있는 집단일수록 심하다. 이들은 정부가 새로운 모델의 적용보다는 전략을 융통성 있게 가져갈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정부 IT부문의 신기술 따라잡기는 중단된다.

 더욱이 정부는 인력고갈에 직면해 있다. 이는 다른 주요 산업부문보다 훨씬 더 심하다. 관련인력이 정부를 떠남에 따라 무수한 계획들이 사라져 간다.

 정부에서 IT분야의 응용성은 기술을 ‘소유한’ 사람들이 정부를 떠날 때 잃어버리게 된다. 대부분의 정부 관계자들은 문서나 혹은 지적자산 관리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학습은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진행되기 일쑤고 지식노동력을 창조하기 위한 직접적인 노력도 없게 마련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런 흐름을 반성하고 정부내 근로자들의 지적자본을 축적하는 데 힘써야 한다.

 한때 정부는 기술혁신에 앞서갔다. 그리고 민간부문은 혁신에서 이익을 찾았다. 실제로 인터넷은 미국 연방정부 전략의 하나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디지털 경제시대에 들어서면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됐다. e비즈니스 ESP(eESP)들은 나날이 첨단기술로 무장해가면서 기업이나 정부내 정책실행자의 관심을 끌었다. 혹은 소규모 eESP들은 초기 e비즈 서비스시장 주도자로 각광받았다.

 또 기존 ESP가 새롭고, 작고, 보다 민첩한 솔루션 시장을 타깃으로 삼게 되면서 과거 클라이언트/ESP의 관계와 새로운 클라이언트/ESP간 관계에서는 분명한 차이를 읽을 수 있게 됐다.

 클라이언트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념화하고 확인하고 개발하는 데 전념한다. 클라이언트는 또 비즈니스 의무, 거래공동체, 수요·공급기반에 대한 지식을 갖는다. 반면 ESP는 고객관계관리, 공급망관리, 인터넷 마케팅, 의사교환, 가상공동체를 포함한 새로운 모델분야에서 지식을 갖는다.

 이처럼 양자간 관계는 중복되는 부분이 없다. 오히려 각각의 역할에 시너지효과가 있다. 전자정부라는 클라이언트는 ESP들에도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다주는 것이다.

 이같은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ESP는 정부와 관계에서 △정부 비즈니스 전문가 △자문 프로그램 매니저 △문화대행사 △지적 자본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전술적인 점을 감안할 때 정부 IT부문 관계자들은 서비스 공급자보다는 중개자 역할을 맡아야 한다.

◆공공e비즈시장 급성장

-ESP 서비스

오는 2003년까지 전자정부 서비스를 위해 많은 ESP들은 정부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정부 당국자도 이 때까지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양자간 협력이 긴밀할 때만 적절한 이득을 내는 전략·전술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한편 정부 서비스안에는 ESP들은 몰아내는 요소들과 동시에 정부 서비스 쪽으로 ESP들을 잡아끄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민간부문 기업에는 소비자나 수익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욕구와 함께 결과를 보다 빠르고, 보다 혁신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욕구가 있다. 이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공공부문 역시 민간과 연계를 맺으면서 시장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공공부문의 시장 가능성은 수직상승, 수익성 높은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가트너데이터퀘스트는 오는 2004년까지 정부부문의 e비즈 서비스 투자가 88억4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ESP들은 기금모금에 참여하게 된다.

 만일 자금을 모아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는 확고한 계획이 있다면 정부와 정부(또는 주와 주,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를 연계하는 정부의 전략은 ESP에 의해 주목받게 될 것이다.

 ESP들은 정부의 권한과 권한을 연결하는 솔루션 시장을 타깃으로 삼는다. 이들 솔루션은 정부에 매우 긴요하다. 대부분의 정부는 리드타임이 긴 소비자 지향 솔루션 개발보다는 빠르고 리드타임이 짧은 솔루션의 도입에 나서고 있다.

 ESP들은 기금모금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 이들은 민간부문에서 공공부문, 혹은 민간부문에서 다양한 정부기관으로 솔루션을 재판매하기도 한다. ESP들은 전자정부의 목표를 발전시키기에 적절한 프로그램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기금수행의 지원을 받는 정부 프로그램을 목표로 삼는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