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테러 대참사>국내 재난복구시스템 점검-정부부처

 “이번 테러사태와 같은 대재난이 우리나라 정부부문에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물론 끔찍한 가정이기는 하지만 이번 테러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재난사태가 중앙정부청사·과천청사와 같은 정부건물에서 발생하면 전산시설이 큰 피해를 보게 돼 실질적인 무정부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와 주목받고 있다.

 중앙부처는 현재 각 부처별 전산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행정업무의 이용센터로서의 정부전산정보관리소(GCC)가 있기는 하지만 중계소로서의 기능에 그치고 있다. 정보통신부와 국방부에 자체 전산소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전산업무는 부처별, 기관별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전산기계실이 부처내 혹은 부근 일반건물에 위치하고 있어 전기, 항온·항습, 확장성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별도의 백업시설이 구축돼 있지 않은데다 전력간선이 단일모선으로 돼 있고, 또 지하에 위치해 있다보니 침수위험도 상존하고 있다. 더욱이 항온·항습시설이 취약해 폭탄테러가 아닌 하절기 고온에서조차 다운위험이 있는 등 극히 취약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 테러사태와 같은 대재난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한마디로 우리나라 정부의 주요 DB는 순식간에 유실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정부부문의 업무는 대공황과 같은 혼란에 빠질 것이라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이유로 정부부문의 원격지 백업센터를 포함한 재해복구센터가 제대로 구축이 안돼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단순히 전산시스템의 장애에 대비해 테이프백업을 해놓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점을 들어 현재 계획중인 정부통합전산센터 구축은 물론 이와 관련된 원격지 백업센터와 같은 재해복구센터 구축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중앙정부청사의 통합전산환경센터 구축이 필수적이고 과천정부청사의 정보DB를 보호할 수 있는 중부권 통합전산센터의 구축을 완료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물론 원격지 백업센터와 같은 재해복구센터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경우에도 재해복구센터는 100㎞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 지방행정기관과 수도권 행정기관이 상호 백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해 추후 상호 백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고려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GCC의 한 관계자는 “정부부문은 재해·재난의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원격지 백업센터 등과 같은 재해복구센터의 필요성을 느끼고는 있으나 예산부족으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미국의 이번 테러사건을 계기로 정부부문의 재해복구센터 구축을 명문화하는 방안을 포함해 장기적인 재해·재난 관련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승정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