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기획-뉴스&밀레니엄> Focus.. 문제사항별 대안

 기술적으로 인터넷 사이트 방문자의 숫자를 정확하게 집계하는 것은 가능하다. 방문자가 본 페이지가 어떤 것인지 또 어떤 광고를 봤는지도 측정할 수 있다. 웹 서버의 로그파일을 분석해서 방문 결과를 추출하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실시간으로 방문자를 측정해 알려주는 프로그램도 시장에 나와 있다.

 그러나 문제는 사이트 운영자(인터넷 서비스 기업)들이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의지가 없다는 점에 있다.

 기업들은 일단 분석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꺼리고 있다. 광고주들의 요구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설치를 한다 해도 프로그램 자체를 조작해버리면 그만이다.

 기업 스스로가 의식을 전환한다면 문제는 간단해지지만 이 역시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제3의 객관적인 검증장치의 마련 즉, 미국의 ABC나 BPA같은 공사(Audit)기구에서 실시하는 웹 공사제도의 도입이다. 웹 공사는 사이트 방문 접속통계에 대한 인증제도가 정착돼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관련 지난 7월부터 한국ABC가 일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공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인터넷 주식공모 역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분야다. 특히 해당기업이 직접 산정한 주가가 그 회사의 실질적인 가치를 잘 반영하는가에 대해 의문은 그 정점에 있다.

 가치 평가에 대한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법적 규제장치 등이 논의되고 있지만 이는 인터넷에 또 다른 재갈을 물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의 소지가 없지 않다. 인터넷 공모의 투명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민 감시단을 조직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인터넷 공모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결국 투자자들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투자자로서 공모 주체에 객관적이고 투명한 자료의 공개를 요구하는 권리행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인터넷 설문조사나 투표는 각종 현안에 대한 일반인들의 견해를 빠르게 모으는 설문방식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이 또한 여론을 조작하고 호도한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대안으로는 설문조사 항목을 작성하고 운영하는 일을 인터넷업체가 아닌 제3의 조사기구나 전문가가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방안 등이 부상하고 있다.

 일반적인 여론조사나 설문조사는 믿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영향력 있는 매체나 미디어의 경우는 객관성 확보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설문조사의 여론조작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금처럼 누구나 임의로 조사에 참가하는 방식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터넷한겨레에서 「라이브폴」을 운영하는 한 관계자는 『조사기관이 조사대상자(표본)를 패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이 방식이야말로 중복응답을 막을 수 있고 후통제를 통해 성별·연령별·지역별 추이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수 있어 인터넷조사가 과학적 조사방법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여론조사 전문업체들이 최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패널조사를 시도하는 것은 좋은 예다. 또 인터넷 설문조사 결과를 놓고 전화조사를 병행해 비교하는 것은 신뢰도를 높이는 좋은 시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상범·온기홍·정혁준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