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방송영상제작단지 실효성 논란

 문화관광부가 지난 10월 「방송영상산업 진흥대책」의 일환으로 내놓은 방송영상 제작단지 조성계획을 놓고 방송계에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조성하는 방송영상 제작단지가 과연 실효성을 갖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문화관광부가 추진중인 방송영상 제작단지 조성계획은 현재 남양주에 있는 서울종합촬영소의 잔여부지 약 30만평을 활용해 오는 2002년까지 연면적 2천평에 달하는 방송제작시설(방송제작용 스튜디오·조정실·분장실·연습실·세트실·종합편집실)을 조성하겠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계획에는 4백18억원(민자 2백55억원 포함) 가량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문화부는 방송협회·케이블TV방송협회·독립제작사협회·영화인협회 등 전문가들을 주축으로 「남양주 스튜디오조직위원회(가칭)」를 구성, 내년 초부터 사업의 타당성 조사 및 운영관리 방안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방송영상 제작자·방송관련 사업자·민간 사업자 등으로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해 오는 2002년 10월까지 제작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문화부의 이같은 계획에 대해 독립제작사 등 방송사업자들은 남양주 지역이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고 기존 시설을 사장시킬 우려가 있다며 반대 의견을 내놓고 있다.

 현재 대부분 독립제작사들이 제작시간이 짧은 토크쇼나 유사 다큐멘터리물을 급하게 제작해 방송사에 납품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남양주 지역은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은 데다 출연자가 출연 자체를 기피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는 지적이다.

 대단위 방송제작단지를 조성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방송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현재 독립제작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외부시설로는 방송회관의 스튜디오, 방송개발원의 방송시설, KTV·아리랑TV 등 케이블TV 프로그램공급사(PP)들의 스튜디오 및 편집실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게다가 KBS 등 지상파 방송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튜디오나 편집실 역시 외부 제작자들이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송시설은 상당 부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외부 제작자들이 이용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거나 폐쇄적이다.

 따라서 대단위 방송제작단지를 조성하는 것보다는 방송시설의 임대 활성화나 시설 공동이용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같은 업계의 주장에 대해 문화관광부측은 정부가 구상중인 방송영상 제작단지가 기존의 시설과 결코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고 해명한다. 기존 시설과 새로 조성되는 제작단지가 어느 정도 역할을 분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남양주 스튜디오는 토크쇼나 버라이어티쇼처럼 단기간에 제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보다는 드라마처럼 장기간이 소요되는 프로그램에 적합하다는 지적이다.

 사실 문화부의 이번 방송영상 제작단지 조성계획은 우여곡절 끝에 탄생한 것이다. 정부는 당초 제작단지 조성계획을 4년 전부터 검토해 왔으나 그동안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미디어밸리나 영상제작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너도 나도 나서는 바람에 계획 자체를 유보해 왔다. 그러나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중인 영상제작단지가 재원마련이라는 암초에 부딪히자 대부분 유야무야 되고 말았다.

 이같은 상황에서 문화부의 제작단지 조성사업이 발표된 것이다. 그러나 제작사들이 이같은 정부계획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어 이 사업이 출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으로 문화부가 제작단지 조성계획의 기본 방향을 어떻게 잡아갈지가 주목되고 있다.

<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