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 풀리는 일본 대중문화.. 업계 반응

 김대중 대통령이 방일 중 일본 대중문화 개방 방침을 밝힌 데 대해 영상업계는 대체로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국민정서와 문화수준, 그리고 심화되고 있는 대일 무역역조 등의 상황을 고려, 아직은 빗장을 풀어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지만 21세기 한·일관계를 위해 일본 대중문화를 수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크게 나오고 있다.

 업계는 일본 대중문화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일단 국제화·개방화에 부응할 수 있고 수준높은 일본 문화예술을 받아들임으로써 국민의 문화향수 기회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미 잠식돼 있는 일본 대중문화를 양성화함으로써 우리문화와의 건설적인 경쟁 및 공존의 관계를 모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일본의 선진 마케팅을 전수할 수 있고 표절 등의 시비를 일축할 수 있으며 시장 저변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개방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에서는 급속히 변화하는 국제화 시대를 맞아 대등한 한·일관계를 고려해 즉시 개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단계적인 개방일정이 필요하며 2002년 월드컵 대회 일정에 완전개방 시기를 맞춰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단계적 개방론자들은 특히 일본 저급문화의 확산을 막기 위해 영상물의 등급제도에 의한 규제가 필요하고 대중음악의 경우 라이선스 계약 제조판매→콘서트(라이브 공연)→음반판매→방송출연 등의 순으로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비디오에 대해서도 국내 극장 개봉작에 한해 출시를 허용하고, 극장 개봉작의 경우에도 예술성이 짙은 영화만을 들여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업계는 이에 따라 정부의 일본문화 개방일정이 어떻게 나올지에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정책적 방안이 전제돼야 한다는 데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를테면 일본문화를 연구하는 민간기구를 발족, 대안을 제시하도록 하고 유통산업을 선진화, 저급한 일본영상물의 유통 및 유입을 차단해야 한다는 것. 내부적으로는 국내 영상업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금융 및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전문인력 양성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영상음반협회 남영진 사무국장은 『김 대통령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방침 천명에 대한 업계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라면서도 『문화적·산업적 파장을 고려, 개방시기의 연착륙과 제도적인 장치를 최대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모인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