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에서는 지난 95년부터 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원격진료센터 구축을 추진, 3차년도가 되는 올초부터 본격적인 개설과 함께 가정과 직장 의무실 및 휴대 화상회의시스템을 통한 이동 원격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가 현재 국내에서 이뤄지는 원격의료시스템 중 가장 성공적 케이스로 꼽히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소개한다.
서울대병원 원격진료센터가 실시하고 있는 원격진료를 컴퓨터 주치의라고도 부르는데 그 구성을 보면 크게 화상진료 모듈, 개인의무기록,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로 구분된다.
화상진료모듈은 환자 가정의 PC와 원격진료센터 내의 화상진료시스템을 1백28kbps ISDN으로 연결하고 환자와 전문의가 서로 화상을 보면서 환자의 건강상태를 문진할 수 있는 건강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전문의는 필요할 경우 동화상, 오디오 등의 건강정보를 환자 측에 전송할 수 있으며 화상회의용 화이트보드 기능을 이용한 처방전달도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개인의무기록은 전문의가 환자의 각종 문진, 진찰 및 검사결과를 평생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조회, 입력, 수정할 수 있게 했다. 환자 역시 자신의 검사나 건강문제 항목을 주요 결과지나 판정지 형태로 볼 수 있으며 한편으로 자동화된 리마인더(Reminder)를 통해 적절한 조기진단검사 시기를 통보받을 수 있게 된다.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는 여러 가지 데이터 형태로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 상에서 조회할 수 있게 했다. 건강정보는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기술되었고 환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를 도와서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는 목적에 중점을 뒀다. 또한 한 제목 당 정지화상과 함께 구성하여 한 화면에 담았다.
멀티미디어 건강정보의 내용을 보면 건강증진, 평생건강관리, 증상별 건강정보, 질환별 건강정보, 응급처치, 약물, 육아 및 산전관리, 의료검사 및 기기, 가정 상비용품, 의료보험, 잘못된 건강상식 등이다.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는 한 화면 단위로 정보를 전달하고 한 화면에서 문자, 소리 또는 음성,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동시에 제공하며 하이퍼링크를 사용하여 정보의 심층화 및 연계화를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전자 많이 본 뉴스
-
1
최태원 SK 회장, 이혼소송 취하서 제출…“이미 이혼 확정”
-
2
삼성, 첨단 패키징 공급망 재편 예고…'소부장 원점 재검토'
-
3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4
삼성전자 연말 성과급, 반도체 12~16%·모바일 40~44%
-
5
“인력 확보는 속도전”…SK하이닉스, 패스트 트랙 채용 실시
-
6
'위기를 기회로'…대성산업,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신사업 추진
-
7
삼성전자 “10명 중 3명 'AI 구독클럽'으로” 구매
-
8
잇따른 수주 낭보…LG엔솔, 북미 ESS 시장 공략 박차
-
9
현장실사에 보안측정, 국정공백까지…KDDX, 언제 뜰까
-
10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실시 협약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