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의료정보시스템] 원격의료시스템 활용 사례.. 서울대 원격의료센터

서울대병원에서는 지난 95년부터 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원격진료센터 구축을 추진, 3차년도가 되는 올초부터 본격적인 개설과 함께 가정과 직장 의무실 및 휴대 화상회의시스템을 통한 이동 원격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가 현재 국내에서 이뤄지는 원격의료시스템 중 가장 성공적 케이스로 꼽히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소개한다.

서울대병원 원격진료센터가 실시하고 있는 원격진료를 컴퓨터 주치의라고도 부르는데 그 구성을 보면 크게 화상진료 모듈, 개인의무기록,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로 구분된다.

화상진료모듈은 환자 가정의 PC와 원격진료센터 내의 화상진료시스템을 1백28kbps ISDN으로 연결하고 환자와 전문의가 서로 화상을 보면서 환자의 건강상태를 문진할 수 있는 건강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전문의는 필요할 경우 동화상, 오디오 등의 건강정보를 환자 측에 전송할 수 있으며 화상회의용 화이트보드 기능을 이용한 처방전달도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개인의무기록은 전문의가 환자의 각종 문진, 진찰 및 검사결과를 평생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조회, 입력, 수정할 수 있게 했다. 환자 역시 자신의 검사나 건강문제 항목을 주요 결과지나 판정지 형태로 볼 수 있으며 한편으로 자동화된 리마인더(Reminder)를 통해 적절한 조기진단검사 시기를 통보받을 수 있게 된다.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는 여러 가지 데이터 형태로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 상에서 조회할 수 있게 했다. 건강정보는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기술되었고 환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를 도와서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는 목적에 중점을 뒀다. 또한 한 제목 당 정지화상과 함께 구성하여 한 화면에 담았다.

멀티미디어 건강정보의 내용을 보면 건강증진, 평생건강관리, 증상별 건강정보, 질환별 건강정보, 응급처치, 약물, 육아 및 산전관리, 의료검사 및 기기, 가정 상비용품, 의료보험, 잘못된 건강상식 등이다.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는 한 화면 단위로 정보를 전달하고 한 화면에서 문자, 소리 또는 음성,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동시에 제공하며 하이퍼링크를 사용하여 정보의 심층화 및 연계화를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