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시스템의 표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자차트시스템, 전자의무기록(EMR), 처방전달시스템(OCS), 병원정보시스템(HIS), 의료영상 저장전송시스템(PACS), 텔레메디신(Telemedicine), 텔레라디올로지(Teleradiology), 텔레콘퍼런스(Teleconference) 등 의료정보시스템의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아 산업발달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진료기간 연장, 의료비 부담 증가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
이러한 부작용은 정보화 초기 단계에서는 드러나지 않으나 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심화된다. 특히 최근 들어 EDI를 통한 의료보험 청구, 병원간 환자정보의 교환이 빈번해지는 데다 의사간 협진 및 병원간 의료정보 교환이 급증하면서 의료정보시스템 표준화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표준화란 의료에 사용되는 용어와 서식 등을 약속된 형태로 표현하는 것으로, 광의의 표준화는 의료행위가 이뤄지는 모든 과정의 행위 및 양식을 규정하는 것이지만 이는 너무 광대한 작업이기 때문에 의무기록 양식과 용어, 그리고 이를 전산화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의 표준화 및 의료기관간의 통신양식에 대한 규정 등이 일차 표준화 대상이다.
표준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정부와 학계가 주도적으로 표준안을 제정, 관련업계에 파급하는 것과 「윈도95」나 「한글」처럼 마켓셰어를 장악한 업체들의 제품사양을 표준으로 인정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표준안으로 정착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리는 점을 고려, 정부와 학계가 주도적으로 표준안을 제정해 행정적인 조치를 통해 전 의료기관 및 업계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들의 견해다.
실제 선진국들은 정보통신사업의 주도적 위치 확보를 위해 표준화를 전략적 분야로 설정하고 막대한 인력과 자본을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대용량 정보처리라는 병원전산화의 본질적 문제 해결을 위해 「HL7(Health Level Seven)」을 중심으로 의료정보 표준화에 적극 나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L7의 제안은 의료정보시스템의 국제표준으로 사실상 정착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의료정보시스템에 대한 표준화가 선행되지 않아 관련업체들이 독자적인 시스템을 개발, 보급해 왔기 때문에 심지어는 같은 병원에서도 이기종의 컴퓨터 및 의료정보시스템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없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의료정보시스템 업체가 부도로 쓰러질 경우 애프터서비스는 물론 보험수가 변경이나 포괄수가제 도입 등에 따른 업그레이드가 어려워 수많은 사용자가 큰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이같은 문제가 최근 발생하기도 했는데 이는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은 데 따른 폐해 중 극히 일부분이라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한의료정보학회의 한 관계자는 『의료정보시스템의 기술적 인프라는 이미 구축돼 있는데도 국내 표준화 작업이 지지부진한 것은 업체 및 병원의 자금과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추진 주체의 강력한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표준안 제정 및 정착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 의료기관과 의학연구단체, 업체 및 정부 관계자가 참여하는 범국가적인 사업으로 수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효상 기자>
전자 많이 본 뉴스
-
1
최태원 SK 회장, 이혼소송 취하서 제출…“이미 이혼 확정”
-
2
삼성, 첨단 패키징 공급망 재편 예고…'소부장 원점 재검토'
-
3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4
삼성전자 연말 성과급, 반도체 12~16%·모바일 40~44%
-
5
“인력 확보는 속도전”…SK하이닉스, 패스트 트랙 채용 실시
-
6
'위기를 기회로'…대성산업,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신사업 추진
-
7
삼성전자 “10명 중 3명 'AI 구독클럽'으로” 구매
-
8
잇따른 수주 낭보…LG엔솔, 북미 ESS 시장 공략 박차
-
9
현장실사에 보안측정, 국정공백까지…KDDX, 언제 뜰까
-
10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실시 협약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