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포커스] 전기용품안전관리협 김진태 부회장

중소가전업체들의 가전제품 공동AS센터 설립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가전3사의 사업구조조정으로 판로를 잃고 직접 유통망 개척에 나서야 하는 중소가전업체들과 과다한 AS비용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중견전문업체들에 가전제품 공동AS센터는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중소가전업계의 가전제품 공동AS센터 설립 추진의 산파역을 자처하고 실무적인 일을 도맡아 처리하고 있는 한국전기용품안전관리협회 김진태 부회장을 만나 그동안의 추진과정과 이후 일정을 들어봤다.

『지금 중소가전업체들은 큰 위기에 봉착해 있습니다. 수십년간 믿고 거래해왔던 대기업이 수익성 악화를 내세워 협력관계 단절을 요구해온데다 내수경기는 바닥으로 치닫고 있어 중소기업들은 그야말로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있는 상태죠.』

이렇게 벼랑 끝에 선 중소기업들이 어떻게든 탈출구를 찾겠다며 지난해말부터 하나둘 협회를 중심으로 모여 고심을 토로하던 과정에서 가장 시급한 해결과제로 등장한 것이 바로 공동AS센터 설립.

당장 판로를 개척해야 하는데 전국적인 AS망 없이는 중소기업의 물건을 받아줄 수 없다는 유통업체들의 입장을 받아들이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일석이조의 장점이 중소가전업체들의 눈을 번쩍 뜨이게 했다.

『의견이 제시되자 생각보다 일이 빨리 진행됐습니다. 지난 1월 한일가전, 동양매직, 유닉스전자, 성광전자, 국제전열공업 등 10여개 업체가 참석한 가운데 추진팀이 구성됐고 그 뒤로 2주일에 한번씩 실무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참여업체들의 적극적인 호응속에 설립방법, 예산확보, 업체들의 참여방법, 공동AS센터 운영방법 등을 실제 전국 AS망을 가동하고 있는 가전업체의 실례를 바탕으로 치밀하게 짜나갔다.

또한 협회를 중심으로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등을 쫓아다니며 중소기업 육성차원에서 정부의 예산지원을 요구, 긍정적인 대답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일단 이같은 기초작업을 마치고 추진팀은 지난 15일 그동안의 결과를 보고하는 설명회를 가졌다.

참가한 업체들의 반응은 상당히 좋았다. 가려운 부분을 제대로 긁어주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판로확보도 어려웠지만 기존 OEM거래를 뒷받침 삼아 가전3사 대리점과 직접 거래하기 위해서는 AS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추진팀이 목표로 삼고 있는 공동AS센터 연내 설립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게 김 부회장의 지적이다.

『설립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출자금 문제, 운영비 등을 얘기하면 난색을 표명하는 업체들이 있습니다. 또 회원제 형식이냐, 아니면 주주 형식이냐 등 그 방법에 대해서도 이견이 많아 이를 조정하는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추진팀은 이같은 업체들의 의견을 8월말까지 수렴, 다시 설명회를 열어 최종안을 확정짓고 오는 10월까지는 참여업체들을 모집, 늦어도 연말에는 전국 주요지역에 일부 AS센터를 열겠다는 계획이다. 또 공동AS센터를 법인화해 참여한 업체들로 하여금 투자비에 대한 응분의 이득을 나눠가질 수 있는 경쟁력있는 회사로 키워나간다는 꿈도 갖고 있다.

김진태 부회장은 『중소가전업계의 공동AS센터는 나아가서는 제품 품질의 향상, 부품의 공용화, 신기술 개발 등으로 이어져 우리 중소기업을 살릴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며 『그 때까지는 새로운 길을 닦는다는 심정으로 공동AS센터 설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지연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