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 동축혼합(HFC)망이 아닌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도입이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이 지상파방송의 재전송 위주에서 탈피, 유선방송망을 초고속 정보통신망과 연계해 인터넷서비스, 홈쇼핑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현재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이 가장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전국의 유선방송사업자들이 동축케이블망을 활용해 부가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국민넷 프로젝트」다.
전국 8백여 유선방송사업자들이 총 41만6천㎞에 이르는 동축케이블망을 활용해 국민넷으로 대표되는 부가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할 경우 정부가 추진중인 초고속 정보통신망 사업과 연계돼 정보인프라 구축기간을 상당히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게다가 이들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의 경우 종합유선방송국(SO), 프로그램공급사(PP), 전송망사업자(NO) 등 「3분할 사업구도」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케이블TV와는 달리 「망과 가입자」를 모두 확보하고 있어 사업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른 사업자들이 추진하고 있는 부가서비스와 달리 지역특성에 맞는 부가서비스 개발도 쉬울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부가서비스는 양방향 대칭형으로 전송속도가 최대 10Mbps인 인터넷서비스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작년 8월 부산지역의 중계유선방송사업자가 시험서비스를 개시하면서 활기를 띠고 있는 인터넷서비스는 4월 현재 4개사가 상용서비스중이며 이어 10여개의 사업자들이 곧 시험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다.
유선방송사업자들의 이같은 부가서비스 도입추세는 올해 중 50∼1백개사로 늘어날 것으로 보여 중계유선방송업계에 「국민넷 돌풍」이 불어닥칠 전망이다.
유선방송사업자들이 이처럼 부가서비스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것은 SO와의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나 거시적으로 보면 범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구축」이라는 큰 궤에 중계유선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은 많다. 가장 큰 문제가 망구축 방법. 중계유선망은 대부분 한전이나 한국통신의 전신주를 빌려 설치돼 있는데, 최근 들어 이를 철거하라는 요구가 집중적으로 쏟아지고 있어 부가서비스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전과의 마찰은 끊임없이 발생해 이제 막 피어나려는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의 부가서비스 개시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NO인 한전 역시 자사가 구축한 망을 이용해 부가서비스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점도 한 이유가 되고 있다. 특히 MS, 두루넷과 공동으로 「레인보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한전의 눈에 이와 유사한 성격의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는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이 곱게 보일 수가 없는 것이다.
현재 한전측은 한전주에 설치돼 있는 유선방송사업자들의 망을 철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고, 이 때문에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은 부가서비스를 상용서비스하고 있으면서도 알리기를 극히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중계유선방송사업자들이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지정받는 것도 시급한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유선방송사업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방송용 54∼2백16㎒ 대역뿐이다.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은 할당받지 못한 채 비공식적으로 3백50∼4백50㎒ 대역을 사용해 부가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들은 중계유선 관련 부가서비스 도입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관계당국이 부가서비스용 주파수 대역 할당을 비롯한 제도적 뒷받침을 조속히 해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김위년 기자>
많이 본 뉴스
-
1
삼성, 첨단 패키징 공급망 재편 예고…'소부장 원점 재검토'
-
2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3
“12분만에 완충” DGIST, 1000번 이상 활용 가능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
4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5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6
한덕수 대행도 탄핵… 與 '권한쟁의심판·가처분' 野 “정부·여당 무책임”
-
7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8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9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10
헌재, "尹 두번째 탄핵 재판은 1월3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