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통 잇단 돌출행동에 "눈살"

서울이동통신(대표 이봉훈)이 잇따른 돌출행동으로 관련업계로부터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말 갑작스런 시티폰 포기선언으로 충격을 던져주었던 이 회사는 올들어 시티폰 가입자들에 대한 일방적인 사업종료 통보로 말썽을 빚은 데 이어 이달 들어서는 일부 무선호출 국번의 네자리수 전환을 가입자들에게 통보했다가 번복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올해초부터 11개 지역 무선호출사업자들과 전국 무선호출사업자인 SK텔레콤이 무선호출 가입자 해지방지 캠페인의 일환으로 함께 추진해온 「012-015 연합광고」 계획이 최근 무산된 것도 서울이동통신의 불참이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져 눈총을 사고 있다.

한국통신의 지역 시티폰사업 인수작업 역시 서울이동통신이 걸림돌이 돼 아직 완벽한 마무리를 못하고 있는 상태다.

015무선호출사업자 가운데 가입자 확보에서 늘 선두를 달려온 서울이동통신의 이같은 횡보는 감독관청인 정보통신부, 사실상 동업자나 다름 없는 다른 015사업자들과 가입자들 모두에게 당혹스러움을 안겨주고 있으며 업계 일각에서는 서울이동통신의 다음 수순에 대해 궁금해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이달초 무선호출 국번변경을 가입자들에게 통보했다가 이를 번복한 것은 최근 서울이동통신이 뭔가 삐걱거리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게 하고 있다.

서울이동통신은 이달말까지 46×국번을 정부에 반납하고 이 국번 가입자들을 865×국으로 전환할 예정이었다. 문제는 국번변경 3개월 전에 이를 가입자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통신사업자의 의무를 게을리한 데서 비롯됐다. 이달초에서야 DM을 통해 번호변경을 통보받은 가입자들이 항의하는 사태가 빚어지자 서울이동통신은 「가입자들의 편의를 위해」 번호변경을 2개월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이동통신으로부터 번호변경 연기를 요청받은 정통부는 가입자들의 불만을 고려, 이를 수용할 방침이지만 『가입자를 볼모로 번호자원 운용과 같은 정책사항조차 좌지우지하려는 듯한 느낌』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서울이동통신측은 『지난 연말 이후 시티폰사업 문제로 정신이 없었다』는 궁색한 변명을 하고 있지만 가입자를 재산으로 사업을 하고 있는 통신사업자가 번호변경과 같은 중요한 문제를 소홀히 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잇따른 돌출행동이 IMF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고통스런 산고로 그치고 015사업자의 대부로 다시 돌아올 것인지 아니면 통신업계의 「트러블 메이커」에 그치지 않고 업계 구조조정의 시한폭탄이 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최상국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