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사위기" 케이블TV PP산업, 구조조정 본격화

부도,화의신청,경영악화등 거듭된 악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케이블TV 프로그램공급업계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광고수주량 급감등 경영을 위협하는 수많은 요인 때문에 지난해부터 부실화의 징후를 뚜렷하게 보여주었던 케이블TV PP들의 정상화는 개별 사업자나 PP산업 전체적인 측면에서 결코 만만치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나타나고 있는 징후들은 PP산업의 구조조정 작업이 막바지를 향해 급피치를 올리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느낌을 주고 있다.

우선 케이블TV PP산업 부실화의 대표적인 경우로 꼽혔던 케이블TV 교육채널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출범 초부터 시청률 저하 문제로 부심했던 교육채널은 작년 8월 2개 채널의 EBS 위성교육방송이 개국하면서 자연도태 또는 채널 전환,대기업 및 전문기업에의 인수설이 끊이질 않았다. 이 때문에 관련업계에서는 PP산업의 구조조정 대상 1호로 3개 교육채널을 지목해왔고 실제로 이들은 자천타천으로 M&A 시장에 올라와있던 상태였다.

마이TV의 경우 SK그룹의 인수방침이 공식 발표되기까지 했으나 IMF한파로 계약성사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SK측은 마이TV의 인수 여부를 확정하지 못한채 관망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성사여부는 반반정도라는게 업계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성원그룹의 인수설이 끊이지 않았던 다솜방송은 결국 최종 부도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으나 현재 직원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회사 살리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생존여부는 매우 불투명한 상태다.

케이블TV 교육채널의 마지막 보루였던 DSN의 경우도 결국 그룹의 구조조정 여파에 묻어 재능교육으로의 인수가 확정된 상태다.

물론 교육채널의 이같은 결과는 정책적 실패,케이블TV 전국망 구축 지연,EBS위성교육방송의 출범 등 복합적 변수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디지털위성방송이 출범하는 환경하에서 교육채널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찾고있는 기업들이 심심치않게 나타나고 있어 상반기중에는 구조조정작업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모기업의 경영악화 및 자금난으로 한때 존폐의 기로에 섰던 여성채널들도 이달중 경영정상화 여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먼저 지난해 모기업인 진로그룹의 부도 및 화의신청에 따라 IMF이전까지만해도 M&A설이 무성했던 GTV의 경우 이달중 정상화 여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현재 GTV는 IMF 이후 다른 기업으로의 우호적인 M&A는 사실상 물건너간 상태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달중 법원의 화의신청 판정결과에 따라 정상화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GTV는 PP중 시청률이 상위에 랭크돼 있어 화의신청이 법원에 의해 받아들여질 경우 오너의 사재 출연도 점쳐지고 있다. 물론 일부 사업부문을 정리한 후 다른기업에 인수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동아건설의 자금난으로 매각대상으로까지 거론됐던 동아TV의 경우 최근 그룹의 자금난에 숨통이 트인데다 지난해 조사된 시청률 순위에서 상위에 랭크되면서 자금지원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케이블TV업계에서는 동아그룹이 동아방송전문대학을 개교한데다 최근 애니메이션 등 산학차원의 영상미디어부문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어 동아TV에 대한 지원중단 가능성은 낮다는게 일반적인 의견이다.

대기업계열 PP의 경우도 내부적으로 새로운 변신을 추진하고 있어 PP산업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게 하고 있다.

IMF이전까지만해도 MPP(Multiple PP)를 겨냥해 경영이 악화된 PP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M&A를 추진해왔던 현대,삼성,대우 등 대기업들은 최근 외부기업 인수를 통한 MPP보다는 내부역량을 이용한 MPP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MPP로의 전환 여부는 새방송법 개정작업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되지만 MPP조항이 신설될 가능성이 높아 기존인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MPP가 적극 고려될 것으로 보여 PP산업의 전반적인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PP업계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매각대상으로 지목돼왔던 일부 전문 PP들의 경우도 최근 사재출연 또는 해외자본유치를 적극 추진하고있는데다 지난해 말을 전후해 슬림화작업을 완료한 상태여서 중견 전문 PP들의 부도는 더 이상 없을 것이란게 업계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오히려 일부 PP는 디지털위성방송에 대비하기 위해 MPP를 위한 신규채널을 적극 검토하고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끌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지원하는 공공채널로 신정부의 방송행정이 가닥을 잡을 경우 MPP와 민영화를 중심으로 한 공공채널의 경영 효율화 작업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조시룡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