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부품개발 협력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한국전자산업진흥회는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간 LG, 삼성, 대우, 현대전자 등 주요 대기업과 중소협력업체 간의 부품개발실적을 조사한 결과 총 4백개 품목(5백2개 규격)의 국산화가 이루어져 총 2억7천6백만 달러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이 기간에 국산화가 이루어진 품목은 모니터용 CDT 10개, 디지털 이동전화기용 IC 7개, 컴퓨터 CD롬용 스핀들 모터 15개를 비롯, 액정표시장치(LCD), 반도체 및 반도체장비 등 정보통신기기용 관련 부품이 3백41개로 전체 국산화 부품의 85%를 차지해 우리 기업들이 정보통신부문에 대한 개발활동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컬러TV용 CPT, 전자레인지용 실드톱,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용 부품 등 가전기기용이 59개로 전체의 14.7%를 차지했다.
진흥회는 이번 부품국산화로 거둔 수입대체 효과를 지역별로 분류했을 때 일본에서 수입돼온 품목에 대한 국산화가 전체의 58%인 1억6천1백만 달러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 대일 무역역조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진흥회는 이번에 국산화한 부품에 대한 판로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펴는 한편 개발된 부품 및 국산화 대상부품에 대한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김병억 기자>
많이 본 뉴스
-
1
삼성, 첨단 패키징 공급망 재편 예고…'소부장 원점 재검토'
-
2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3
“12분만에 완충” DGIST, 1000번 이상 활용 가능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
4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5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6
한덕수 대행도 탄핵… 與 '권한쟁의심판·가처분' 野 “정부·여당 무책임”
-
7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8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9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10
헌재, "尹 두번째 탄핵 재판은 1월3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