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케이블TV 부가통신서비스 어디까지 왔나 (1)

지난 5월말 2차 케이블TV 종합유선방송국(SO)이 새로이 허가된데 이어 2차지역의 전송망사업자(NO) 선정작업이 막바지단계에 접어들면서 케이블TV망을 통한 부가통신서비스 시현이 최대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2차 SO선정과정에서 볼수있 듯이 SO 및 NO들은 초고속데이터서비스, VOD(주문형비디오), 전화, 원격검침, 방범방재, 원격교육 및 의료, 영상회의 등 부가통신서비스 구현을 지상과제로 설정하고 이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국내 케이블TV업계의 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부가통신서비스의 기술적 가능성, 해외동향, 국내전망을 3회에 걸쳐 집중 점검한다.

HFC망

케이블TV 서비스망을 통한 부가통신서비스 구현의 기술적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통신과 방송의 경쟁사업자간에 양론이 팽팽히 맞서왔으나 올들어서는 단순히 「가능하냐」의 문제에서 벗어나 신뢰도의 문제, 또는 언제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로 모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인터넷이나 전화 등 부문별로 케이블TV 부가통신서비스를 일부 상용화하고 있고, 기술발전이 끊임없이 발전할 것임을 전제할 때 이의 상용화 논쟁은 머지않아 서비스간 경쟁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에서 케이블TV 부가통신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는 2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1차 SO사업구역을 대상으로 설치된 HFC(Hybrid Fiber Coaxial)망이고 또 다른 하나는 2차SO구역에 새로이 도입되는 무선케이블TV망이다.

한국통신과 삼성전자, 대우통신 등 민간통신업체들이 개발한 디지털방식 유선망인 「SWAN-2」의 경우 부가통신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구현이 시험적으로 이뤄졌으나 이번 2차 NO지정신청을 포기함에 따라 당분간 네트워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적어 상용화까지는 상당시간이 지나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케이블TV 부가통신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HFC망으로서 지금까지 모든 부가통신서비스 논쟁의 초점이 돼왔다. HFC망을 통해 인터넷 등 부가통신서비스가 가능하느냐의 문제는 망설계와 망의 광대역화 및 양방향성 등으로 귀착된다. HFC망을 이용해 부가통신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전송외에도 충분한 양방향서비스대역이 필요하고 또한 가입자로부터의 상향신호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정체현상(트래픽) 해결이 선결과제이기 때문이다.

광대역화 및 양방향 문제와 관련해서는 국내에 이미 투자된 HFC망 가운데 한국전력의 전송망과 일부 중계유선사업자의 네트워크가 이에 해당된다. 먼저 이번 2차NO지정신청에 참여한 중계유선사업자중 성남유선방송을 비롯한 10여개 사업자들의 네트워크가 양방향통신에 적합한 광대역망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생산되는 광대역증폭기 대부분이 단방향 4백50에서 양방향 7백50로 바뀌고 있어 양방향의 광대역망을 보유한 중계유선의 수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한전의 네트워크는 당초 4백50급으로 포설됐으나 지난해 이후 지속적으로 광대역화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 지금은 80%상당이 양방향 7백50급의 광대역망으로 바꿔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달리 한국통신의 네트워크는 아직까진 4백50급을 중심으로 이뤄져 본격적인 양방향서비스 구현이 힘든 상태다.

부가통신서비스의 기본인 양방향성의 광대역화 문제가 해소되더라도 망설계시에 인터넷 등 해당 부가통신서비스가 가능토록 하는가는 또다른 문제이다. 케이블TV HFC망의 부가통신서비스를 위해서는 ONU(옥외방송수신기)당 가입자수의 현실화라는 또다른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진국의 기술추이를 고려해볼 때 인터넷이나 전화를 케이블TV망을 통해 상용서비스를 할 경우 ONU당 5백가입자 이내로 설계해야만 한다. 또한 PPV(페이-퍼-뷰)나 VOD(주문형비디오)등을 시현할 경우는 애초부터 3백가입자 이내로 설계돼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 깔려있는 양방향의 광대역망 대부분이 이같은 요건에 맞지 않아 이에 대한 선투자가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의 경우 ONU당 5백가입자에서 1천5백가입자까지 물려있는 상태여서 광케이블을 추가포설해, ONU당 5백가구까지 가입자수를 줄여야 본격적인 상용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

중계유선의 경우는 성남유선방송을 비롯해 3~4개 사업자만이 추가적인 광케이블포설로 ONU당 5백가입자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며 대부분이 이같은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력, 가스, 수도 등의 원격검침서비스는 망의 문제가 아닌 장비개발이 문제이고 원격교육이나 원격진료 등은 수요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달려있다.

결론적으로 HFC망의 부가통신서비스는 이제 기술적인 「가, 불가」의 문제가 아니라 이의 실현을 위한 네트워크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로 모아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및 전화서비스를 위한 과제해결이 부가통신서비스 실현가능성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시룡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