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부처 장관 선임을 두고 국민추천제를 실시하면서 다양한 인사들이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로 추천되고 있다. '아덴만의 영웅'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부터 'K방역' 주역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 등 소위 의료계 스타들 이름이 거론된다. 여기에 국회부터 관료 출신 교수까지 하마평에 오르며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재명 정부 첫 보건복지부 장관은 어느 정부 때보다 큰 짐을 안고 임기를 수행해야 한다. 1년 넘게 지속된 의정갈등 해소가 가장 시급한 과제다. 여기에 2대 개혁 중 하나인 '연금개혁'을 차질 없이 수행해야 하며, 저출산·초고령화를 대비한 건강보험 체계 개편 등도 추진해야 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장관 인선을 지켜보는 보건복지부 공무원들의 속내는 복잡하다.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을 강하게 비판해 온 더불어민주당이 집권하면서 누가 장관으로 오든 기존 정책들의 동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의사단체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선 의료개혁의 일정부분 후퇴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은 의사와 정부의 첨예한 갈등, 이에 따른 사회적 혼란과 환자 피해를 야기했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도 타격이 크다. 코로나19 유행부터 이어진 살인적인 업무강도는 의정갈등 발발 후 더 늘어나 조직원들의 '번아웃'이 심각한 상태다. 의료계의 비난은 물론 중요한 시점마다 대통령실과 당시 여당에서 협상의지를 내비치며 주무부처 영향력을 떨어뜨린 것도 컸다.
새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정갈등을 원만히 해결하면서도 조직 사기를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한 역할이 다. 보건복지부 내부에서 급진적인 개혁보다는 안정적으로 갈등을 해소하고, 조직관리에 충실한 전직 관료를 차기 수장으로 선호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추락한 조직원들의 사기와 조직 위상을 회복하는 것이야 말로 의료개혁과 의료정상화의 동력이 될 것이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