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생성형 AI플랫폼' 구축한다…금융권 AI 기술 내재화 속도

Photo Image
자료 게티이미지

하나은행이 '인공지능(AI) 플랫폼'을 도입한다. 금융권이 직접 AI 기술을 개발·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AI 기술 내재화에 속도를 낸다.

9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본점과 영업점 직원들이 직접 AI 기술을 개발·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AI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생성형 AI를 비롯한 다양한 AI 기술을 직접 실행하고 개발해 금융업무별 맞춤형 AI 에이전틱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직원 업무를 경감하고 은행 업무는 자동화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단순히 AI 관련 서비스를 외부에서 공급받는 것에서 나아가 직접 AI·디지털 관련 역량을 내재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AI 전담 부서를 중심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현업 과제를 발굴하고 있으며, 본점 부서들과 직접 미팅을 통해 실질적인 활용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있다. 플랫폼 구축과 과제 발굴·구현을 병행해 기술 내재화와 현업 적용을 동시에 추진 중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기존에 AI 활용을 위해 개발 과정에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운영에도 AI 및 데이터 분석 등 전공 전문 인력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자연어를 활용해 은행 현업 담당자가 자유롭게 업무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시대”라며 “내부 인재 육성 및 기술 내재화에 속도를 높여 차별화된 금융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 AI 기술 내재화 양상이 확산하며 기술 개발 경쟁도 한층 달아오를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최근 내부 IT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AI 개발 지원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개발자들이 플랫폼을 통해 반복적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코딩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초급 개발자부터 외부 개발자까지 공통된 우리은행 표준 코드로 AI 기술 기반 내부 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NH농협은행은 올해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기능을 강화해 전국 영업점에 RPA 활용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RPA 포털을 기반으로 임직원 주도 현장 중심 업무 자동화를 위해 직원이 직접 업무 자동화를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현장에 RPA 적용을 확대한다. 단순 반복 업무는 자동화하고, 직원들은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은행 관계자는 “AI 기술 기반으로 공통된 솔루션뿐 아니라 임직원들이 직접 이를 활용하고 개발하며 개인과 업무 특성에 맞게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직원과 고객 모두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금융 AI 서비스를 선보이는 데 집중하며 디지털 금융 경쟁도 한층 달아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정다은 기자 dandan@etnews.com

AI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