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에 美 관세까지…정부, 5개월째 '경기 하방 압력 증가' 진단

Photo Image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대외여건 악화와 내수 회복 지연으로 우리 경제의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는 진단을 내놨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에서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이 둔화하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지난 1월부터 5개월 연속 '경기 하방 압력 증가' 판단을 내놓고 있다.

3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생산 증가와 소비 감소가 나타났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2.9% 증가하며 전산업생산을 끌어올린 가운데 소매판매는 0.3% 감소했다.

4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0.7%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미국 관세 부과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수출은 데이터 상으로는 기존 우려보다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경기 하방 압력이 지속되는 만큼 연간 성장률은 당초 정부 전망 대비 낮은 수준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올해 초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에서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예측했다.

4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4000명 증가했지만 제조업과 건설업 취업자가 크게 감소했다.

4월 소비자 물가는 농산물 하락 폭이 확대되고 석유류 물가가 하락세로 전환했지만 축산물과 수산물의 상승 폭이 확대되며 전년 대비 2.1% 상승했다.

기재부는 “기업 피해 지원,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13조8000억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신속 집행하고 일자리·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