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내달 2차 유니트케어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

Photo Image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16일 제2차 유니트케어 시범사업 공모계획을 발표했다.

유니트케어 시범사업은 공동생활을 하는 요양시설에서 다인실 구조를 1인실 구조로 전환하기 위해 추진한다. 자율성과 사생활 보호로 대표되는 새로운 돌봄 욕구에 대응하고, 돌봄인력을 추가 배치로 질 높은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유니트는 정원 9인의 소규모 인원을 하나의 거주·돌봄의 관리 단위로 하되, 1인실·공용공간 확보 의무화를 명시했다. 시범사업 참여기관은 유니트 내 침실 1인실 원칙, 1인실 최소 침실면적 10.65㎡ 이상, 정원 1인당 최소 공동거실 면적 2㎡이상, 유니트당 화장실·욕실을 1개 이상 확보 등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Photo Image
기존 공동요양시설과 유니트케어 시설 비교(자료=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는 배정된 유니트에 전임근무를 해야 하고, 모두 치매전문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노인요양시설에 설치된 유니트는 개별 유니트마다 장기요양청구경력이 3년 이상의 요양보호사를 배치해야 한다.

복지부는 지난해 7월부터 유니트케어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현재 7개 시설에서 총 11개 유니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2차 시범사업은 경기 4개소, 전북·전남·충남 각 1개소 등 총 7개소 20여개 유니트를 선정한다.

참여 대상은 장기요양기관 지정을 받은 노인의료복지시설이다. 다음 달 7일부터 23일까지 17일간 신청을 받는다. 복지부는 심사를 거쳐 6월 25일 최종 참여기관을 발표한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장기요양시설은 어르신들이 입소 후 여생을 보내시는 장소인만큼 내 집과 같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유니트케어 시범사업으로 어르신들이 편안하게 지내실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