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전 LG엔솔 사장 출연연 1호 '국가특임연구원' 임용

Photo Image
김명환 차세대이차전지 전략연구단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1호 국가특임연구원으로 한국화학연구원의 김명환 차세대 이차전지 전략연구단장이 공식 임용됐다고 28일 밝혔다.

국가특임연구원은 출연연의 공공기관 지정 해제에 따라 이달 초 제정된 출연연 운영규정을 통해 새롭게 시행되는 제도다.

국가특임연구원 도입을 통해 비공모 특별채용 및 정년 적용 없는 파격적 보수 지급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마련했으며, 이를 통해 출연연이 국가 연구개발(R&D) 기관으로써 그간 축적해 온 연구 실적을 실제 대형 성과로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맞춤형 전문가를 적기 영입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했다.


김 단장은 LG화학 및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등을 역임한 배터리 분야 최고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올해부터는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으로 선정된 차세대 이차전지 전략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1996년 LG화학 초대 배터리개발팀장으로 임명된 후 국내 최초 리튬이온전지 원천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해 100% 수입에 의존하던 리튬이온전지를 내재화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2000년대에는 이차전지 종주국인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초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상용화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외에도 글로벌 산업표준 기술이 된 안전성 강화 분리막(SRS) 개발, 세계 최초 3성분계 NCM523 양극재 개발 및 원통형전지 적용, 세계 최초 하이니켈 양극재의 자동차용 전지 적용, 주요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전기차용 전지 개발·양산 등 대한민국이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을 이끌어 나가는데 있어 핵심적으로 기여했다는 평가다.

이 같은 경험 등을 토대로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로 대두되고 있는 전고체 전지 등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소재-전극-셀 전반에 이르는 차세대 이차전지 전주기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1호 국가특임연구원 임용에 이어 국가특임연구원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국가특임연구원 제도 외 출연연이 연구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관 차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재정적 지원 방안을 함께 검토·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앞으로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국가특임연구원으로서 출연연이 가진 우수한 연구 인력·인프라와 함께 성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