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첫 외국인 최고경영자(CEO) 호세 무뇨스 사장이 취임 이후 처음 인도를 찾았다. 전기차 제조와 수출에서 인도 중요성을 강조했다.
무뇨스 사장은 4일(현지시간) 인도 하리아나주 구르가온에 위치한 현대차 인도법인(HMIL)에서 현지 임직원과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
그는 완성차 제조는 물론 수출 허브로 인도의 중요성을 밝히며, 고객 중심 철학을 바탕으로 한 품질 관리로 인도 정부의 '빅시트 바라트(Viksit Bharat·발전된 인도) 2047' 비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무뇨스 사장은 “인도는 현대차의 글로벌 사업에서 세 번째로 큰 시장”이라며 “지난해 HMIL의 기업공개를 통해 현대차는 인도에서 신제품은 물론 추가 생산능력까지 갖췄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인도 첸나이 1·2공장을 운영하고, 푸네 지역에 3공장을 건립 중이다.
무뇨스 사장은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200만대 목표를 위해 HMIL 역할의 중요성을 당부했다. 그는 “HMIL은 인도 소비자 요구에 쉽게 접근하고, 적합한 전기차를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인도는 현대차 이정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HMIL이 전기차 서비스를 확장하고, 필요한 인프라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무뇨스 사장은 2023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인수해 건립 중인 푸네 3공장에 대해 “국내 수요를 맞추는 데 도움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제조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현대차그룹은 3년째 판매 신기록을 세우며 인도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2022년 70만811대에서 2023년 76만5786대, 지난해 79만7463대 차량을 판매했다. 인도 브랜드 점유율은 약 20%로 스즈키에 이어 2위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