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연구기관 선정…난치성 고형암 극복 신약 도전

서울대병원이 난치병으로 꼽히던 '삼중음성유방암·췌장암'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 연구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2029년까지 5년간 연구비 150억원을 투입한다.

Photo Image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미정복질환 극복 임무 연구개발 과제 참여기관(사진=서울대병원)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임무중심형 연구개발(R&D) 사업인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일환으로 추진한다. 서울대병원은 미정복질환 극복 임무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서울대병원은 서울대, KAIST, 퓨처켐과 공동연구단을 구성했다.

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은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 개발에 도전한다. 이 치료제는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리간드(암에서 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해 결합하는 물질)를 이용한 차세대 표적 항암제다.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어 주변 세포 손상을 최소화한다. 다른 약물보다 내성이 적고, 기전이 간단해 임상 단계 활용이 용이한다. 체내 분포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약효 예측이 간편하다.

Photo Image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의 종양 치료 기전(자료=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생물정보학(BI)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삼중음성유방암과 췌장암에 대한 표적물질과 리간드를 신속히 발굴한다. 효능과 기전 역시 빠르게 시험한다. 저용량으로 약물 안전성을 평가하는 마이크로도징 임상평가를 적용해 임상 진입 실패확률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임상 후보물질 도출의 소요기간을 30% 이상 획기적으로 단축해 초고속 임상 승인을 목표로 삼았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핵의학과 강건욱·윤혜원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한원식 교수, 간담췌외과 박준성 교수가 참여한다. 연구진은 암세포를 배양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구축하고, 다중분자영상 기술을 활용해 방사성 리간드 치료 기전을 검증한다. 서울대는 BI 기반 기초연구를 통해 표적물질 발굴을 주도하고, KAIST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리간드를 최적화한다. 퓨처켐은 임상용 시료 생산과 공정 구축을 담당한다.

Photo Image
강건욱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

책임연구자인 강건욱 서울대병원 교수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난치성 고형암인 삼중음성유방암과 췌장암 치료를 위한 약물을 초고속으로 발굴하고, 신속히 검증해 혁신적인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면서 “나아가 치료제 작용 범위를 점차 확대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국가 보건난제 해결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