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치매 대표 병변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어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가족력 없이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산발성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선보였다.
3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안지인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된 단백질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와 EBP1 단백질 발현 변화에 따른 발병기전을 밝히고, 실제 환자와 치매 유사도를 높인 동물모델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EBP1 단백질이 노화·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뇌에서 특정하게 발현이 감소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췄다. 주로 뇌 신경세포에 발현하는 EBP1 단백질은 신경세포 생존과 분화에 관여한다.
연구팀은 EBP1 유전자 결손 마우스 뇌에서는 노화에 따라 신경세포 내 독성이 점차 늘어 뇌 위축, 신경염증 반응, 인지 기능 저하 등 알츠하이머성 치매 증상이 증가함을 확인했다. 인간의 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 병리와 유사하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EBP1이 비정상적으로 절단 현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기능을 점차 잃으며 세포 내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을 촉진되는 것도 밝혀냈다.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 EBP1을 과발현해 기능을 복원했을 때,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물이 감소되고 학습과 기억 능력 향상 효과도 달성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적 효용성을 가진 신규 단백질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세계 치매 환자는 약 5500만명으로 최근 국내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승인으로 실제 환자에게 적용되기 시작했으나, 뇌 속에 쌓여 신경세포를 죽이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생성을 제어하는 약물은 미비했다. EBP1 유전자를 제거한 마우스를 동물모델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줄이는 접근법을 보였다.
안지인 성균관대 교수는 “치매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발성 알츠하이머병을 연구하는데 알맞은 신규 마우스 모델을 제안하고 그 병리 기전을 분자와 세포, 동물모델과 환자 조직에서 밝혀내 제어기전을 제시했다”면서 “후속연구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전략으로 독성단백질 제거 기전을 밝히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신경과학 분야 상위 1.1% 국제학술지 네이쳐 에이징에 지난달 온라인 게재됐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