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CI 연구그룹 2개 신규 출범…바이오분자 사회학 그룹에 우재성 고려대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CI(Chief Investigator) 연구그룹 2개를 새롭게 출범시켰다고 2일 밝혔다.

바이오분자 사회학 그룹 CI로는 우재성 고려대 교수가 선임돼 지난 31일 연구를 착수했다.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 CI로는 윤성우 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위원(52세)이 임명돼 1월 1일 연구를 착수했다.

Photo Image
우재성 IBS 바이오분자 사회학 그룹 CI

우재성 신임 CI는 구조생물학 분야 촉망받는 연구자다. 구조생물학은 단백질, RNA, DNA의 구조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단백질의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는 연구 분야다. 노벨 과학상만 5차례 나왔을 정도로 학계 관심이 높은 분야다.

우 CI는 지난 20년 동안 구조적·기능적 단백질 분석 분야에서 활약한 연구자로, IBS와도 연이 있다. 2013년 IBS RNA 연구단 연구위원으로 임용되며 독립적 연구그룹을 이끌었다. 당시, 김빛내리 단장과 함께 생명 분야 최고 권위지인 '셀'에 2015년과 2016년 논문을 연달아 발표하는 등 우수한 업적을 냈다.

2017년 고려대 교수로 임용된 후에는 막단백질 연구에 집중했다. 2020년 우 CI는 초저온전자현미경(Cryo-EM)으로 세포 간 물질을 전달하는 통로인 간극연접 막단백질의 구조를 해석한 결과를 처음 발표했다. 이후 여러 간극연접 단백질의 구조와 개폐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우 CI는 IBS 본원 PRC(Pioneer Research Center) 연구단인 바이오분자 및 세포구조 연구단 내 독립적 연구그룹을 구성했다.

우 CI가 이끄는 바이오분자 사회학 그룹은 간극연접 단백질의 구조 및 개폐 메커니즘 이해를 통해 질환의 근본적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명확히 파악, 새로운 약물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IBS 본원에 구축된 Cryo-EM 장비를 활용해 단백질 분석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성과를 다수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 CI는 “사람 몸에는 21종류의 간극연접 단백질이 있는데, 이중 구조와 기전이 밝혀진 건 30%뿐”이라며 “세포 간 직접적인 의사소통과 물질 이동 원리 규명을 통해 생물학의 중요한 질문에 대한 구체적 답을 찾고자 한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윤성우 IBS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 CI

윤성우 신임 CI가 이끄는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은 암흑물질의 후보 중 하나인 액시온을 탐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액시온은 암흑물질의 후보인 동시에 우주의 물질-반물질 불균형이라는 미스터리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열쇠로 주목받는다.

윤 CI는 IBS의 젊은 과학자 육성 프로그램인 차세대 연구리더(YSF)에 2015년 선정되며 IBS와 첫 연을 맺었다. 이후 현재까지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특히, 피자 모양 공진기(PRL, 2018), 종이접기를 모방한 공진기(PRL, 2024) 등 독창적인 공진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기존에는 탐색이 어려웠던 영역까지 액시온 탐색 영역을 확장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고성능 장치들을 결합해 세계 최고 민감도의 액시온 탐색 실험을 수행(Physical Review X, 2024)하는 등 이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내왔다.

기존 CI 연구그룹이 PRC 연구단의 소속이 되던 방식과 달리,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은 입자 및 핵 물리 연구클러스터 내 독립적인 연구그룹으로 구성됐다. 입자 및 핵 물리 연구클러스터 소속 3개 연구단(지하실험 연구단, 순수물리이론 연구단, 희귀 핵 연구단)과의 시너지를 통해 입자물리학의 역사를 새로 쓰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성우 CI는 “액시온 연구는 암흑물질의 비밀을 풀 열쇠를 쥔 도전적 분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로 한계를 넘어서는 과정에서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액시온 탐색은 단순 발견을 넘어 현대 물리학의 지평을 넓히는 여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도영 IBS 원장은 “IBS는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을 위해 연구단장에 준하는 엄격한 선정 절차를 통해 유망한 젊은 연구자들을 CI로 선정하고 있다”며 “우재성 CI와 윤성우 CI는 각각 생명과 우주에 대한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힐 최전방의 기초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