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업종별 NCSI 분석

Photo Image

2023년 대비 2024년 NCSI 점수가 상승한 업종을 살펴보면, 총 조사대상 업종 80개 가운데 금년도 신규 조사대상 업종인 7개 업종(복합기(프린터), 전자제품AS, 인터넷전문은행, 체크카드, 컴팩트승용차, 장기보험, 자동차보험)을 제외하고 전년과 비교가 가능한 73개 업종 가운데 8개 업종에서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전기자동차, 국립대학교, 의류관리기, 로봇청소기, 무선청소기, 세탁기, 준대형승용차 등의 업종이다.

전문대학교 고객만족도는 78점으로 전년 대비 3점 상승했다. 취업 연계 프로그램 강화와 산학협력 확대, 실무 중심 교육과정 강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취업난이 지속되고, 산업체와 구직자 간의 미스매치가 일어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산업체와의 노력들이 주요했다. 지역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 역량을 높이고,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한 점이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 고객만족도는 77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이번 만족도 상승은 우선 국내 전기자동차의 뛰어난 제품 품질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업계 최고 권위의 '2024 월드카 어워즈'에서 기아 EV9이 '세계 올해의 자동차'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됐으며,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N은 '세계 올해의 고성능차'로 선정되는 등 세계적으로도 국내 전기자동차의 상품성을 입증받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정비가 가능한 서비스 센터가 확대되고 전기자동차 고객만을 위한 맞춤형 멤버십이 도입되는 등 서비스 인프라가 개선된 것도 만족도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국립대학교 고객만족도는 전년대비 2점 상승했다. 대학의 교육 인프라 개선, 연구 지원 확대, K컬쳐를 기반으로 국제화 프로그램 강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특히 연구 지원 확대와 학생 중심의 교육 혁신, 글로컬 대학 추진 등으로 학생들의 기대감을 높인 것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고등교육 혁신 정책과 인공지능(AI) 교육 및 디지털 전환 지원이 대학 만족도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의류관리기 고객만족도는 79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건강과 위생에 대한 고객의 높은 관심을 반영해 스팀/제습 기능 개선, AI 기술 고도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뤄져 체감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이며,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기능과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려는 노력이 반영되어 고객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로봇청소기 고객만족도는 80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중국 등 해외 업체의 올인원 제품을 앞세운 선전에도 불구하고, 각 기업은 뛰어난 기술력과 함께 안정적인 AS 서비스, 보안 측면에서의 신뢰도를 강점으로 부각해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탄탄한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고가/저가형 제품을 모두 출시해 고객의 선택권을 다양화한 것이 전반적으로 고객만족도의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무선청소기 고객만족도는 80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각 기업이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시장에서 이제는 필수로 자리잡은 물걸레 청소 기능 향상에 힘씀과 동시에, AI를 활용해 고도화된 맞춤형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니즈에 적합한 청소 생활을 지원한 점이 고객만족도 향상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세탁기 고객만족도는 81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LG전자는 케어십 서비스를 통해 제품 위생 및 성능 점검에 대한 고객편의성을 강화하고, 가전/서비스 구독 상품을 통해 초기 구매비용을 절감하고 무상 AS를 제공한 점이 만족도 상승을 이끌었으며, 삼성전자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결합된 원바디 탑핏과 AI콤보를 선보이면서 고객 선택폭을 확대해 만족도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했다.

준대형승용차 고객만족도는 81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국내 대표 준대형 세단인 현대자동차 그랜저의 신모델 '디올뉴 그랜저'가 새롭게 조사에 포함되어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이 전반적인 만족도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럭셔리 준대형 세단인 제네시스 G80과 기아 K8 또한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해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고 상품성을 강화했다. 전반적인 소비심리 위축 상황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준대형승용차 고객들의 니즈를 기업들의 신차가 충족시킨 것이 만족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이호준 기자 newlevel@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