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상에 이어 화학상까지…노벨상 휩쓰는 AI

순수 자연과학이 주름 잡았던 노벨 과학상 무대에서 인공지능(AI)이 주인공으로 떠올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생화학과 교수와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 존 점퍼 연구원을 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허사비스 CEO와 존 점퍼 연구원은 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의 아버지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앞서 세계 AI '4대 천왕' 중 한 명인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명예교수와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지난 8일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바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과학계 노벨상 3개 부문 가운데 AI는 생리의학상을 제외한 2개 부문을 휩쓴 것이다.

Photo Image

AI 분야의 잇따른 노벨상 수상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그동안 노벨상은 인간의 창의성이나 과학적 발견에 대한 순수 학문연구에 돌아갔다. AI는 순수 학문보다는 프로그램이자 기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힌턴 교수도 물리학상 수상 후 “이런 일이 일어날 줄은 몰랐다”며 “정말 놀랐다”며 “수상을 전혀 예상치 못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AFP 통신은 “AI는 오랜 기간 동안 과학의 변방에서 종종 사랑도 받지 못하고 자금도 지원받지 못했지만, 한 주에 두 개의 노벨상 수상은 마침내 햇빛을 받을 때가 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AI는 1950~60년대 초보적인 챗봇, 번역기,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등장한 이후, 인간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 발전했다.

엘레나 심펄 킹스 컬리지 런던 정보학과 교수는 “AI가 과학을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 그 역할은 매우 크며, 이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노벨상 수상은 이런 AI의 역할을 인정하고 동시에 컴퓨팅 기술 발전에 있어 학문 간 융합의 중요성도 함께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향후 AI 연구자들의 노벨상 수상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심펄 교수는 “AI 선구자들이 노벨상을 받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상을 하도록) 장려돼야 한다”며 “이제 새로운 노벨상 카테고리가 생길 때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

AI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