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국가AI위원회 출범…'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Photo Image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9.26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hihong@yna.co.kr

인공지능(AI)이 기술을 넘어 국가 경제·안보를 좌우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AI가 국가 생존과 직결된다고 판단, AI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AI가 미래 30년을 좌우할 중대 기로에서 우리나라는 AI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를 출범시키며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걸었다.

26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포시즌스 호텔 서울에서 개최된 제1차 국가AI위원회 1차 회의에서 '국가 AI전략 정책방향'과 핵심과제인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정책 패러다임 전환 핵심은 AI 혁신 역량의 극대화와 부족한 부분의 보완이다. 이를 위해 AI인프라 대형화, 집적화 지원과 AI 투자환경의 대폭 개선 등을 담은 4대 클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AI를 국가 인프라화하고, 민·관이 '원팀'이 돼 세계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Photo Image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 주요 전략

◇GPU 15배 늘리고, 민간 총 65조 AI에 투자

우리나라 AI 모델 숫자는 미국(64개), 중국(42개)에 이어 11개로 AI 모델 개발에서 3위권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AI 경쟁력의 근간인 AI컴퓨팅 인프라가 빅테크 대비 절대 부족한 상황이다. 미국이 1위권이라면 한국은 10위권 수준이라는 진단이다.

이에 따라 국가 AI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 현재 보유한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2엑사플롭스(EF) 이상으로 늘린다. 이는 H100 3만개 규모로 현재 15배 수준이다. 이를 기업, 연구자에게 제공한다.

우선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에 민·관이 힘을 합쳐 최대 2조원을 투자하고 민간 AI컴퓨팅에도 저리대출 등을 통해 투자를 유도한다.

아울러 국산 AI 반도체 조기 상용화를 위한 신경망처리장치(NPU), 프로세싱인메모리(PIM) 등 국내 AI 컴퓨팅 생태계를 지원한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4년간 민간은 총 65조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투자 활성화를 지원한다.

현재 해외 빅테크는 'AI 거품론'이 불거질 정도로 사활을 건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주요국 민간 AI 투자 규모를 살펴보면 1위 미국은 91조원, 2위 중국은 11조원, 우리나라는 9위로 1조8500억원 수준이다. 주요국 대비 열위라는 분석이다.

앞으로 민간이 AI 기술·인재·컴퓨팅 인프라 투자를 본격화화면 정부가 관련 세제 지원을 검토하고 대규모 펀드 조성 등 정책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Photo Image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9.26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hihong@yna.co.kr

◇국가 AI 대전환 추진

국가 전반의 AI전환(AI+X)을 추진한다.

AI 도입에서 산업별, 지역별 편차가 심한데 서비스 부문은 53%, 제조는 24% 수준이다. 지역별로도 AI 도입률이 수도권은 40.4%, 비수도권은 7.9%에 그쳤다.

민·관은 2030년까지 산업 70%, 공공은 90%까지 AI 도입률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총 310조원 규모 경제효과 창출을 기대했다.

특히 제조, 금융, 의료바이오 등 AI 도입 효과가 높으나 AI 전환이 더딘 8대 산업별 AX 대책을 수립하고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구현한다. AI 활용역량 강화로 안전·재난·보건 등 공공부문 18대 분야 국민체감 AI 서비스도 창출할 예정이다.

또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AI 기반 의료시스템 혁신과 함께 지역별 AI 혁신거점 구축, 국방분야 AI 활용요건을 조성·확산한다.

AI 안전·안보 분야 국가 전담기관으로 'AI안전연구소'를 올해 11월에 설립한다.

글로벌 AI 거버넌스 주도를 위한 '서울 선언' 확산과 군사·안보 분야 책임있는 AI 활용 확산,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등과 같은 국제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AI 유니콘 10개·20만 AI 인재 확보 목표

우리나라의 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해서는 AI 스타트업 성장기반 조성과 인수합병(M&A)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국가AI위원회는 2030년까지 AI 유니콘 기업 10곳 육성과 AI 인재를 현재의 약 4배 수준인 20만명까지 늘리는 것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또 온디바이스 AI 경쟁력 확보, 개인정보 규제혁신을 통한 AI 신산업 활성화, 저작물 활용을 촉진하는 제도 개선을 통한 생성형 AI 데이터 활용 기반을 조성한다.

아울러 '국가기간전력망확충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AI 트래픽,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한다.

또 전국민이 AI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포용법 제정, AI 책임·권리 귀속관계 등의 기본법리를 정립해 글로벌 AI 규범 논의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Photo Image
AI 3대 강국 도약 비전과 추진전략, 추진체계 요약.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날 출범한 국가AI위원회는 각 분야별 민간 최고 전문가와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분과위원회 운영을 통해 분야별 세부과제와 이행계획을 도출할 예정이다.

국가AI위원회 민간위원 부위원장에는 △염재호 태재대 총장, 위원에는 △강민구 법무법인 도울 대표변호사 △고진 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김민기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 △김상순 법무법인 클라스한결 파트너변호사 △김선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김선주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김성태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 대학원 교수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 △김영섭 KT 대표 △김장우 망고부스트 대표 △김정호 카이스트 전기전자 공학부 교수 △류석영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 △배영자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유회준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오혜연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 △이범규 팀스파르타 대표 △이인석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임종인 대통령비서실 사이버특별 보좌관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CTO △전병곤 프랜들리AI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조성배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조준희 한국SW 산업협회장 △하태경 보험연수원 원장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이상 가나다순) 이름을 올렸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